파생상품 전문가 영입 '전쟁'..임원급 이어 직원까지 '모시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 파생상품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문가 영입 경쟁이 치열하다.
특히 정부가 증권사의 업무영역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한 이후 증권사와 은행간 스카우트 경쟁이 두드러지고 있다.
동원증권은 최근 장외파생상품 설계 전문가인 손석우 상무(41)를 도이치증권에서 끌어왔다.
대우증권도 지난해 12월 산업은행에서 금융공학실장을 맡았던 정해근 상무(47)를 트레이딩 영업본부장으로 영입했다.
이에 맞서 은행쪽에서는 국민은행의 발빠른 행보가 돋보인다.
국민은행은 이달 초 파생상품사업단을 별도 부서로 신설하면서 단장으로 코메르츠증권 한국대표를 지낸 문일수씨(42)를 영입했다.
임원급은 물론이고 일반 직원에 대한 스카우트 열풍도 거세다.
내달 말 증권사 업무영역 확대에 관한 법 시행령이 개정돼 시행되면 자본금 3천억원 이하 중소형 증권사와 외국계 증권사들도 장외 파생상품 시장에 뛰어들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김범준 동원증권 부사장은 "ELS(주가연계증권) 등 파생상품 설계 및 매매를 맡고 있는 직원들을 중심으로 스카우트 제의가 이어져 직원 관리가 어려울 정도"라고 설명했다.
현재 미래에셋 메리츠증권 등이 전문가 영입에 적극 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사장은 이 같은 상황을 IB(투자은행) 시장 선점을 위한 은행과 증권사간의 '전초전'으로 해석했다.
동원증권 손석우 상무는 "신용 이자율 환율 유가 등과 연계된 다양한 파생상품들이 조만간 시장에 선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들 상품은 은행이나 증권사 입장에서는 주식 채권 등 전통적인 유가증권 매매보다 고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데다 종류도 다양하다"면서 "앞으로 투자대상을 확대하고 싶어하는 고액 자산가를 타깃으로 한 프라이빗뱅킹(PB)시장이 크게 활성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