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미국식 사립대 추진' 무산 위기..이사회 상정못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학부 중심의 미국식 종합 사립대학으로 만들겠다는 로버트 러플린 총장의 개혁 구상이 좌초될 위기를 맞고 있다.
KAIST는 24일 서울 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정기 이사회에 최대 현안인 대학 개혁안을 상정하지 못했다.
대학 측은 이날 이사회에서 장기 비전을 발표하면서 러플린 총장이 마련한 개혁안을 심의할 예정이었다.
이처럼 KAIST 개혁 작업에 브레이크가 걸리고 있는 것은 내부의 강력한 반발로 인한 것이다.
한편 러플린 총장의 개혁안에 반발하며 지난해 12월 초 보직을 사퇴한 박오옥 전기획처장(51)은 지난 13일 KAIST 교수들에게 '총장께 드리는 마지막 고언'이라는 '사퇴의 변'을 보낸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박 전처장은 A4용지 한 장 반 분량의 e메일을 통해 "KAIST를 세계적 연구중심대학으로 만들겠다던 약속을 벌써 잊었느냐"면서 "세계적 연구중심대학 중에 학부 중심인 곳이 있는지 묻고 싶다"고 주장했다.
그는 러플린 총장이 '과학기술계의 히딩크'로 묘사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선진 축구를 배우고자 어렵게 초빙했는데 그가 보여준 모습은 실망스럽기 그지 없다"면서 "(학교를 사립 종합대학화하겠다는) 작금의 상황은 축구는 한물간 경기이니 미국에서 잘 나가는 미식축구를 하라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박 전처장은 또 "지난 연말 예산확보를 위해 총력을 기울였는데 러플린 총장이 방해해 수포로 돌아가게 됐다"고 주장했다.
KAIST는 지난해 말 2백억원의 예산 증액을 신청했으나 무산됐었다.
박 전처장은 러플린 총장의 지난 연말연시 행보에 대해서도 "예고된 정기이사회를 개인휴가 때문에 무산시킨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서 "KAIST를 구하러 온 사람인데 휴가가 KAIST의 정체성보다 우선시돼야 하는가"라고 질의하기도 했다.
박 전처장은 "러플린 총장 영입 이후 벌어진 갖가지 마찰과 최근 사립 대학화 논란 등으로 마음 고생이 컸다"며 "그가 별 대안없이 현재와 같이 학교를 흔들려면 차라리 미국으로 돌아가는 게 낫다"고 강조했다.
전임 홍창선 총장(현 열린우리당 의원) 시절부터 기획처장을 맡았고 지난해 러플린 총장을 영입하는 데 한몫했던 박 처장의 이 같은 고언을 KAIST 안팎에서는 충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에 따라 KAIST가 내부 의견을 수렴,개혁안을 제대로 마련할 수 있을지가 불투명해지고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일부에서는 "러플린 개혁안이 물건너 간 게 아니냐"고 우려하고 있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