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줄이 없으면 학교성적도 제대로 못받다니… 이제 아이들에게 학교공부 열심히 하라는 말도 못할 것 같네요."(경기도 B고 학부모) 서울교육청 특별감사를 통해 서울 B고의 답안지 대리작성 사건을 둘러싼 의혹들이 대부분 사실로 밝혀진 24일 교단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연달아 쏟아졌다. 이 소식을 접한 학부모들은 "사건 자체도 놀랍지만 학교와 주변 교사들이 자신들이 저지른 부정행위에 대해 아무런 죄의식을 갖고 있지 않다는 사실에 더 큰 충격을 받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번에 서울시교육청에 의해 확인된 B고의 시험 감독체계는 학교가 '조직적'으로 개입하지 않았다면 불가능했다는 지적이 나올만큼 허술했다. 기말시험 등 정기고사 때 필요한 절차도 밟지 않은 채 감독교사 임의로 시험감독을 바꾼 경우만도 3백22차례에 달했다. 시험 답안을 대신 작성해준 오모 교사의 대범함도 교단의 '모럴해저드'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이 이날 공개한 오씨의 대필 답안은 누가 봐도 한눈에 알 정도로 학생의 필체와 달랐다. 시교육청은 '행여 발각되더라도 아무도 문제삼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2008년 이후 도입될 내신 위주의 대입제도가 제대로 정착될지에 대한 회의론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서울 D고의 한 교사는 "대학과 학부모들은 이제 내신을 교사 맘대로 부풀리고 고쳐줄 수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게 됐다"며 "이처럼 아무도 신뢰하지 않는 내신을 어떻게 주요 대입 자료로 반영할 수 있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교육 당국은 교단을 송두리째 흔들고 있는 교사들의 모럴해저드와 끝모를 추락을 거듭하고 있는 내신에 대한 불신을 회복시킬 대책을 하루빨리 내놓아야 할 것이다. 송형석 사회부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