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상반기 불법 무인단속시스템을 시범설치 운영한 서울시가 올해 중앙버스전용차로와 가로변버스전용차로 중심으로 불법 주.정차 무인단속시스템을 확대.설치할 방침이다. 시범 운영한 결과, 주차단속 요원의 인력비용 절감과 교통흐름 개선에 상당한 성과를 얻었다는 자체 판단 때문이다. 현재 서울시가 시범운영 중인 무인단속시스템은 미아.도봉로, 강남대로, 수색로, 남대문로, 퇴계로 등 6개 도로 32곳에 설치돼 있다. 시는 올해 약 2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중앙버스전용차로와 가로변버스전용차로 50곳에 이를 확대,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인력을 투입하지 않고 불법 주.정차를 효율적으로 단속해 새로운 주.정차 문화를 정착시키겠다는 것이 시의 목표다. 실제로 무인단속시스템은 현재 불법 주.정차 근절은 물론, 교통정체 해소에도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교통정보 분석팀 이경순 팀장은 "시내 전역에 무인단속시스템을 설치하면 현재와 같이 단속인력이 현장을 일일이 돌아다니면서 주차위반 스티커를 발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효율성이 뛰어나다"며 "현재 무인단속시스템은 시일선 구청과 수원 및 안산, 부천 등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도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각 시스템설치 업체별 수주전도 치열하게 확산되고 있다. (주)한일에스티엠 한영기 대표는 "교통정체의 주원인인 불법 주.정차 차량을 효율적으로 단속할 수 있는 무인시스템에 각 지자체가 높은 관심을 갖고 예산 반영을 서두르고 있다"며 "올해 각 시도의 관련 예산만 약 3천억 원 규모로 추정되고 있으며, 2010년까지 매년 5%이상 성장할 것으로 관측 된다"고 말했다. (주)넥스파시스템 윤영일 대표도 "각 구청이 별도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어 전체설치 규모는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 된다"고 말했다. 또 오리엔탈전자시스템(주) 정태연 대표는 "무인단속시스템 공사작업이 급류를 타게 됨에 따라 지난 92년부터 현재까지 1000대가 넘는 단속 장비를 설치해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경쟁업체의 추격을 따돌릴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