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銀 노사 3800명 감원 합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민은행 노사가 정규직 1천8백명 등 총 3천8백명의 감원에 합의했다.
국민은행은 26일 노사합의를 거쳐 전 직원을 대상으로 이달 말까지 희망퇴직(명예퇴직)을 받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희망퇴직 목표 인원은 1천8백명이다.
또 비정규직에 대해서도 재계약을 하지 않는 방식으로 연말까지 2천명을 줄일 예정이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구조조정으로 국민은행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며 대규모 감원바람이 다른 은행이나 증권업계로 확산될지 주목하고 있다.
◆3년묵은 때 벗긴다
국민은행은 합병 후 3년 동안 인력 구조조정을 하지 않았다.
그 결과 전체 직원수는 2001년 10월말 2만6천5백46명(정규직 1만9천1백95명)에서 작년 말 2만8천9백37명(정규직 1만8천9백27명)으로 9% 증가했다.
강정원 국민은행장은 "통합 국민은행은 합병을 통해 세계 70위권 대형은행으로 출범했지만 인력구조조정을 하지 않은 유일한 은행이었다"고 꼬집었다.
인력구조도 기형적으로 변했다.
책임자(과장 이상) 비중이 58.1%로 절반을 넘는다.
'장교가 사병보다 많은' 조직인 셈이다.
게다가 비정규직(계약직)도 34.5%로 시중은행 평균치 24.7%를 크게 웃돌고 있다.
강 행장은 "지난 3년간 인적 구조조정을 지연함으로써 생산성이 낮은 것은 물론 조직의 신진대사가 정체돼 심각한 문제를 낳고 있다"고 설명했다.
◆감원비용 3천억원 육박
국민은행은 명퇴자들에게 거액의 위로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총 명퇴비용은 2천5백억∼3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우선 퇴직 위로금으로 24개월치 평균 임금을 지급한다.
또 자사주 2백주도 지급한다.
1백50주는 회사비용으로 지급하고 50주는 남아 있는 직원들이 고통분담 차원에서 성금을 모아 제공키로 했다.
주식은 3년 뒤 제공한다.
퇴직 후 자녀 학자금(1인당 1천4백만원 한도,2명 이내)도 2년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일자리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해 현재 업무지원그룹에서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명퇴자를 고용해 위탁하고 자회사인 KB신용정보 등을 통한 채권추심업무 등을 퇴직자들에게 우선적으로 제공키로 했다.
위로금 학자금지원 주식보상 등 퇴직자금 총액은 1인당 평균 1억5천만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2억원가량의 명퇴금을 받는 사람이 3분의1에 달한다.
한편 한정태 미래에셋증권 금융팀장은 "명퇴비용으로 국민은행의 올해 이익이 다소 줄어들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비용절감을 통한 수익성 증대가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