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27일 정부가 제안한 행정수도 후속대책 3가지 대안을 기초로 여야가 단일안을 마련키로 합의했다. 여야는 이날 국회에서 특위 소위원회를 열어 각 당이 마련한 신행정수도 후속대안을 놓고 절충에 나섰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정부·여당의 '행정도시'안에 대해 한나라당이 "여야 합의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발표했다"며 절차상 문제를 제기,진통 끝에 이같이 결정했다. 이에 따라 특위는 당초 정부가 국회에 제안한 △행정중심도시 △행정특별시 △교육과학연구도시 등 3가지 대안을 기초로 원점에서 논의하게 된다. ◆여야 합의파기 공방=소위 회의가 시작되자 한나라당 간사인 최경환 의원은 "절차상 정부·여당이 여야 합의를 일방적으로 파기했다"며 포문을 열었다. 최 의원은 "여야가 특위를 구성하면서 여당안과 야당안을 분리하면 정쟁이 되니까,특위 합의안을 만들자고 했다"면서 "그래놓고 정부·여당이 확정안을 발표하면 특위가 무슨 필요가 있느냐"고 공격했다. 이에 열린우리당 노영민 의원은 "한나라당이 20일 의총에서 3개안을 마련했기 때문에 우리도 협상에 나서기 위해 정부·여당안을 만든 것"이라며 "아직 당론이 최종적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자 한나라당 홍문표 의원은 "3개안을 당론으로 정하는 의총이 어디 있느냐"며 "여야 합의사항이 지켜지지 않은 잘못이 시정되지 않으면 안된다"고 공세를 폈다. 여야는 이 문제를 놓고 1시간동안 공방을 벌이다 결국 정회하는 등 회의가 난항을 겪었다. ◆부처이전 범위 및 착공시기 논란=여야는 최대 쟁점인 행정부처 이전범위를 놓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또 위헌논란과 착공시기 등을 놓고도 이견을 빚어 합의안 도출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열린우리당은 충남 공주·연기지역에 외교통상·국방·통일부를 제외한 16부4처3청을 이전하는 내용의 '행정도시'안을 마련했다. 열린우리당 박상돈 의원은 "위헌 시비에서 벗어나면서 국가균형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는 최소한의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교육·과기부 등 7부처 17개 기관의 이전을 기본안으로 삼아 인구 30만∼50만명의 자족기능을 갖춘 '다기능 복합도시'안을 제시하고 있다. 최경환 의원은 "대통령 직속기관인 감사원이 이전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하면서 "법무부 검찰 경찰기능은 안보기능으로 이전시 문제가 있고,재경부 및 예산처 등도 거시경제와 관련돼 있어 이전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행정도시안'이 헌재의 위헌 결정 취지를 훼손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착공시기도 여당은 대선 과정에서의 소모적인 논쟁을 막기 위해 2007년 공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한나라당은 2008년 이후로 연기해야 대선 등에 정략적으로 이용될 소지를 없앨 수 있다고 강조했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