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 Strategy] 욕심은 누르고 인내심은 키워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는 베스트 스코어를 내야지'
이런 생각을 안해본 골퍼가 있을까.
이론적으로 따져보면 보기플레이어가 90타대 벽을 깨고,80타대를 치는 골퍼가 '싱글 핸디캡'에 들어서는 일이 어렵지 않을 것 같다.
그러나 코스에 나가기만 하면 스코어가 들쭉날쭉하면서 기대에 못미치는 일이 허다하다.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한 홀에서 트리플보기 이상의 '하이 스코어'를 내고 그 여파로 스코어 관리를 포기하는 것도 그중 하나다.
특정홀에서 몰락하는 형태와 그것을 막는 길을 알아본다.
◆전략
△벙커는 무조건 피한다:아마추어들에게 벙커는 반갑지 않은 존재다.
벙커에서 두세번 헤매다가 4온,5온 끝에 하이 스코어를 내는 일이 잦다.
'벙커 공포'에 시달리는 골퍼들은 무조건 벙커를 피하는 전략을 써볼 만하다.
쇼트어프로치샷을 할때 벙커를 넉넉히 넘길 정도로 길게 치고,라이가 좋지 않다면 벙커를 아예 우회하는 것도 방법이다.
특정 클럽(예컨대 6번아이언) 이상의 거리가 남았을때 온그린을 포기하고 레이업하는 것도 권장된다.
△OB·워터해저드를 멀리한다:볼이 OB나 워터해저드에 들어가면 스코어는 더블보기 이상으로 연결된다.
OB나 워터해저드가 있으면 그 반대쪽으로 샷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른쪽이 위험지대라면 티잉그라운드 오른쪽에서 티업한 뒤 페어웨이 왼쪽을 겨냥하는 식이다.
△트러블에선 '레이업'이 현명하다:볼이 트러블에 빠지면 즉시 그 홀의 목표스코어를 한단계 낮추라.파가 목표였다면 보기로 바꾸라는 말이다.
그러면 십중팔구 보기는 할 수 있다.
트러블에서 탈출하려다가 더 깊은 트러블에 빠지는 예는 무수하다.
레이업은 10m이상의 롱퍼트,브레이크가 심한 퍼트에도 해당된다.
2퍼트 목표 아래 다음 퍼트를 가장 편안히 할 수 있는 곳에 볼을 멈추게 하는 전략이 요긴하다.
△맥빠지게 하는 하이 스코어는 극력 막는다:볼이 OB나 워터해저드,벙커에 빠지지 않았는데도 더블보기 이상을 하는 일이 있다.
3온4퍼트,4온3퍼트가 그런 예인데 OB를 낸 동반자보다 스코어가 높은 경우도 있다.
이러면 힘이 빠질뿐더러 다음 홀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서두르려는 충동이 일때 여유를 갖고,기본적으로 지켜할 부분(연습 스윙,프리샷 루틴,제 클럽 쓰기 등)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멘탈 포커스
하이 스코어는 대개 '욕심'이나 '인내심 부족'에서 비롯된다.
기량에 걸맞은 샷을 하고,18홀을 마칠 때까지 포기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김경수 기자 ksm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