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전 경제부총리(열린우리당 의원)가 교육부총리에 발탁된데 대해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지만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교육혁신이 우리의 시급한 당면과제라는 점에서 보면 기대가 훨씬 크다. 물론 경제전문가인 김 부총리가 취임했다 해서 모든게 하루아침에 변할 수는 없다. 취임 회견에서 "고교등급제 기여입학제 대입본고사 등에 대한 3불(不)정책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자율권을 확대하겠다"고 밝힌 것만 봐도 현 교육정책의 틀을 완전 흔들 정도로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갈수록 뒤처지는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지금의 교육정책은 획기적으로 개편되지 않으면 안된다. 평준화에 치중해온 정책을 경쟁과 개방,시장수요를 중시하는 쪽으로 바꿔가야 한다. 대졸 신입사원을 채용해도 다시 훈련시키지 않고선 쓸 수 없는 교육현실은 참으로 한심하기 짝이 없다. 특히 지금은 세계 각국이 생존을 위한 무한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러한 국제경제환경과 국내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적절하고 신속한 인재공급은 국가의 사활이 걸린 문제로 인식해야 마땅하다. 청와대가 시장친화적 입장에서 교육문제를 바라보는 김 부총리를 높이 평가한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난립된 대학의 구조조정도 코앞에 닥친 현안이다. 경쟁과 효율을 중시할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고서는 대학교육의 위기는 계속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처한 현실과 치열한 국제경쟁에 대처해 나가기 위해 교육혁신은 잠시라도 늦출 수 없는 과제다. 김 부총리의 교육현장에 대한 경험부족이 결격사유일 수는 없다. 수많은 교육전문가들이 포진해 있는게 교육부다. 관련 공직자나 전문가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정책을 결정해 나간다면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김 부총리의 취임을 계기로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개혁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