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조선 일본군 위안부 및 강제연행 피해자 보상대책위원회'는 31일 일본이 `을사5조약' 날조 100주년 및 패전 60주년이 되는 올해 과거 중대 인권유린범죄 진상을 공개하고 보상하는 실천적 조치를 위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이 단체는 일제가 부족한 식량을 자체로 생산할 목적으로 조직한 `농경근무대'에 끌려간 피해자를 찾아내 그 진술을 토대로 한 진상조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단체는 진상조사보고서에서 일제가 조선인을 강제로 `군인', `군속'으로 전쟁터와 노역장에 끌고간 것은 국제법 위반이라고 지적하며 "일본 정부는 올해 조선인 강제연행 범죄를 비롯한 과거의 중대 인권유린범죄에 대한 진상을 철저히 조사, 규명하고 그 사실을 전면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범죄자를 처벌하고 모든 과거 피해자, 희생자 유가족들에게 하루 빨리 사죄, 보상하기 위한 실천적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단체는 일본이 패전 60년이 지나도록 사죄와 보상을 하지 않고 있으며 강제연행된 피해자의 명단도 일제의 다른 반인류적 범죄와 관련한 문건, 자료와 함께 은폐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단체는 북한이 2003년 말 입수, 공개한 조선인 강제연행 피해자 42만명의 명단을 분석, 조사하는 과정에서 농경근무대에 끌려간 평양시 대동강구역에서 거주하다 지난해 12월 사망한 진태범(1925.8.23 출생)씨와 평양시 중구역에 사는 김치린(1924.3.11 출생)씨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이 단체 진상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우메노부 다이한'이라는 이름으로 기입된 진씨와 `가네무라 치린'이란 이름을 사용한 김씨는 군청, 면사무소로 출두하라는 소환장을 받고 나갔다가 일본군 부대로 강제입소하게 됐고 부산을 거쳐 다른 조선인들과 함께 일본으로 끌려갔다. 일본으로 간 김씨는 아이치현의 `제4농경근무대'에, 진씨는 혼슈의 도치기현의 `제3농경근무대'에 각각 배속돼 온갖 굴욕과 혹사를 당했다고 조사보고서는 밝혔다.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정연식 기자 jy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