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스아이에이(PSI·대표 박상일)는 원자현미경을 만드는 회사다.


원자현미경을 발명한 미국 스탠포드대학 퀘이트 교수 연구실에서 근무한 박상일 대표가 지난 88년 미국에서 창업한 회사.97년 회사를 국내로 옮겨 오늘에 이르고 있다.


원자현미경은 수천만배의 배율로 물질의 원자 수준까지 세밀하게 볼 수 있는 초정밀 측정장비다.


이 현미경의 원리는 맹인이 글을 읽는 것과 흡사하다.


바늘이 LP판을 읽어낸 뒤 굴곡을 계산해 음악을 만든다면 원자현미경은 분자크기의 바늘을 물체에 접촉해 굴곡을 측정해 그림으로 표시하는 방식이다.


나노굵기의 바늘을 만들려면 가느다란 텅스텐선을 전기화학적으로 계속 식각시키면 나중에는 끝에 원자 몇 개만이 남게 된다.


이 탐침을 이용해 물체의 표면을 원자수준까지 볼 수 있게 된다.


원자현미경은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의 뒤를 잇는 차세대 현미경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장비는 전자현미경에 비해 유지비와 측정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측정 대상에 손상을 주지 않아 제품생산 과정에서 검사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갖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반도체 LCD(액정표시화면) 등이 주력상품으로 자리잡고 있는 상황에서 프로파일러 등 기존 장비를 대신할 차세대 장비로 각광받고 있다.


이 회사는 원자현미경과 관련된 특허를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출원했다.


이 기술은 진동 소음 정밀센서 영상처리 위치제어 등 많은 분야에 응용돼 다른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 첨단 기술이어서 경쟁업체들이 쉽게 따라 만들수 없기 때문에 제품의 제작원가에 비해 부가가치가 높은 점도 특징이다.


피에스아이에이가 개발한 원자현미경 'XE-100'은 정밀하게 제작된 미세한 탐침을 사용해 측정 대상 표면의 형상을 수직 기준으로 0.01㎚,수평으로 0.02㎚까지 분해할 수 있다.


이 현미경은 특히 수직축과 수평축의 움직임을 따로 분리해 정확도를 높였다.


원통형 압전 구동기로 제작된 기존의 현미경은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여 관찰하기 때문에 수평과 수직축간 왜곡이 이뤄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국내에선 원자현미경 개발에 성공한 사례가 피에스아이에이를 제외하곤 없으며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의 전자현미경 업체들도 10년전 개발된 제품을 아직 그대로 판매하고 있는 등 이렇다할 만한 기술진보가 없는 상황이다.


피에스아이에이는 제품 출시 1년만에 서울대 카이스트 등 국내 연구소에 80여대를 판매해 전량 수입했던 원자현미경을 국내에서 자체 조달할 수 있도록 됐다.


80%의 수입 대체효과를 거둔 것으로 회사측은 보고 있다.


이 회사는 2003년부터 해외시장에 진출했다.


2년간 미국 일본 중국 독일 프랑스 대만 인도 등 13개국에 대리점을 확보했으며 이곳에 70여대의 원자현미경을 판매했다.


이중에는 경쟁사인 비코사가 인접해 있는 미국 메사추세츠 대학을 비롯,캘리포니아대학 산타바바라 분교,콜럼비아 대학 등이 있다.


국내 원자현미경 시장은 현재 40억원 정도지만 나노기술 성장세를 감안하면 매년 20%이상 성장할 것으로 회사측은 전망하고 있다.


해외 시장 규모는 2억달러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피에스아이에이는 2003년 매출액 46억원에 1억4천만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으며 지난해는 매출액이 90억원 정도로 늘어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박상일 피에스아이에이 대표는 "지난해 2백70만달러의 수출을 기록,아직은 세계시장에서 점유율이 5%로 미진한 수준이지만 2010년까지 50%까지 늘릴 목표"라고 말했다.


(031)734-2900


임상택 기자 lim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