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서울무역전시장 부지계약을 둘러싸고 서울시와 산업자원부가 티격태격하고 있다. 서울무역전시장은 지난 98년 산자부가 서울시로부터 1만평의 시유지를 무상 임대받아 지은 지상 1층,연면적 3천3백평 규모의 박람회·컨벤션 전용시설이다. 그동안 산자부 산하기관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관리·운영을 맡아 중소기업을 위한 전시장·박람회장 등으로 활용해왔다. 서울시와 산자부 간 공방은 오는 9월30일로 부지 무상임대 계약 기간이 만료되는 것을 앞두고 1만평 부지에 지어진 전시장 시설 이관 비용을 누가 대야 하는지를 놓고 시작됐다. 당초 두 기관은 '서울시는 8년간 시유지를 무상 임대해 주고,산자부는 계약 기간 만료시 부지를 원상회복해서 반환한다'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내용만 놓고 보면 산자부는 서울무역전시장 시설을 철거한 뒤 서울시에 부지를 돌려 줘야 하는 셈이다. 현재 두 기관은 철거하는 것보다 기존 시설을 유지·활용한다는 데에는 협의를 한 상태나 시설이관 비용 문제를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산자부는 "전시장 시설은 현존 가치를 따져서 서울시가 유상 매입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즉 시설 건립비용 54억원 가운데 현존 가치를 따져볼 때 서울시가 30억원에 시설을 사들이라는 주장이다. 산자부 관계자는 "서울에 있는 대형 전시시설이 삼성동 코엑스와 서울무역전시장 단 두 곳에 불과하기 때문에 (서울무역전시장의) 현존가치는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반면 서울시는 "8년동안 강남 일대 1만평을 무상으로 제공했는데 계약만료를 앞두고 전시장 시설을 매입해 달라는 것은 말도 안 된다"는 입장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국가적 이익을 위해 8년동안 무상 임대해 줬는데 이제 와서 딴소리를 하면 어떡하냐"면서 "서울무역전시장 주변의 공시지가를 고려해 볼 때 서울시가 입은 손해가 더 크다"고 반박했다. 또 다른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 입장에서 보면 산자부가 시설을 철거해 부지를 반환하는 게 부지 이용 측면에서 더 좋다"면서 "하지만 올해부터 대학·기업·연구소 등과 손잡고 컨벤션 산업을 적극 육성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기 때문에 무상으로 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