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토의정서 16일 발효] 포스코 2008년까지 9천억 투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산업계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후변화협약(교토의정서) 발효로 비상이 걸렸다.
자칫 허용량 초과로 벌금을 물게 될 가능성이 있는데다 이산화탄소(CO₂) 배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선 막대한 설비 투자가 뒤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13일 산업계에 따르면 석탄·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대량 사용하는 발전회사는 물론 철강·정유·화학업체 및 자동차·반도체업체까지 협약 발효가 가져올 파장을 분석하며 지구 온난화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대응책 마련에 들어갔다.
특히 유연탄을 연료로 사용,전력을 생산하는 발전회사는 기후변화협약 발효를 앞두고 비상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한국남동발전 관계자는 "유연탄 1t을 사용하면 2.3t의 CO₂가 발생한다"며 "EU와 같은 CO₂배출규제가 적용되면 앞으로 전력생산에 막대한 차질을 빚게 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1천2백만t의 발전용 유연탄을 사용한 남동발전으로선 EU처럼 배출허용량을 초과하는 CO₂에 t당 40유로의 벌금이 부과되면 그 부담이 엄청날 것이라는 설명이다.
한국동서발전은 이같은 파장을 우려해 CO₂ 등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신·재생 에너지를 개발하는데 2017년까지 총 1조2천5백18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이 기간 CO₂ 배출량을 발전량당 0.23㎏에서 0.17㎏로 줄인다는 목표를 정했다.
철강업계에서는 CO₂배출량이 가장 많은 포스코가 오는 2008년까지 8천9백억원을 투자,설비 등을 개선키로 했다.
쇳물을 뽑아내는데 사용하는 유연탄이 CO₂배출량의 90%를 차지하고 있어 2008년까지 조강(쇳물) 생산량당 CO₂배출량을 지난 2003년(5천8백만t) 대비 8% 줄이는데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정유업계에서는 SK㈜,LG칼텍스정유,S-Oil,현대오일뱅크 등 정유업체와 석유협회가 산업자원부 산하에 '기후변화협약 대책단'을 구성하고 CO₂감축대책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
이중 SK㈜는 산업자원부와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것은 물론 이산화탄소 저감기술도 개발 중이다.
LG화학은 기후변화협약 TFT를 만들어 CO₂저발생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불화탄소(PFC)를 2010년까지 10% 감축키로 했다.
자동차 업계는 EU의 CO₂규제로 인해 관련지역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
국내 완성차업계는 EU와 맺은 국가별 자율규제 약속에 따라 오는 2009년까지 EU 수출 차량의 CO₂배출량을 자동차 1대당 1백40g/km로 맞춰야 한다.
특히 이같은 EU의 기준치를 맞추려면 현대·기아차 등 완성차 메이커들은 CO₂배출량을 줄인 엔진을 개발하고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를 선보이는데 앞으로 4∼5년간 수조원을 추가로 투자해야 하는 실정이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