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부터 상승의 시작이다" 리먼브러더스 윤용철 상무는 증시가 이제 상승의 본궤도에 올라섰다며 이같이 전망했다. 메릴린치 이원기 전무는 "한국증시의 장기 소외현상은 이제 끝나가는 국면이고 주가는 오를 일만 남았다"며 보다 적극적인 평가를 했다. 증시전문가들은 수급개선 경기회복 기대감 및 저평가가 주가를 끌어올리는 주요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중 저평가를 첫째로 꼽는다. 올 들어 주가가 많이 올랐지만 아직도 싸고,그래서 주식을 사야 할 이유가 충분하다는 것이다. 사실 한국증시는 미국이나 일본증시에 비해 턱없이 '홀대'를 받아왔다. 한국증시의 PER(주가수익비율)는 7.8배로 미국(16.0배)이나 일본(15.9배)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중국(10.6배)보다도 훨씬 낮다. PER가 낮다는 것은 기업실적에 비해 주가가 낮게 평가되고 있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자본금이 동일한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이 똑같은 규모의 순이익을 냈을 경우,미국기업의 주가가 2천원이라면 한국기업의 주가는 1천원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삼성증권 오현석 연구위원은 "스프링을 세게 누르면 더 많이 튀어 오르듯 증시의 상승폭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평가 해소에 대한 기대는 한국증시의 아킬레스건인 '코리아 디스카운트'란 용어가 시장밖으로 밀려나고 있는 데서 잘 나타난다. 북한이 핵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 연휴기간 중 폭탄선언을 했지만 외국인은 오히려 연일 순매수하고 있다.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우려보다는 저평가의 매력이 훨씬 더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한화증권 이종우 리서치센터장은 "미국 인텔과 삼성전자의 PER를 비교하면 삼성전자 주가는 1백만원을 훨씬 웃돌아야 한다"며 "한국증시가 본격적인 재평가 단계에 들어섰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종합주가지수 1,000선 돌파는 시간문제"라고 확신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저평가 해소작업이 이제 시작단계라고 말한다. 현대모비스 등 일부 종목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급등하고 있지만,이 같은 추세는 여러 종목으로 확산될 것으로 추정한다. 주주중시 경영의 확산과 글로벌기업이 증가하고 있어서다. 삼성전자에 이어 현대자동차 LG전자 SK㈜ 등 글로벌기업이 속속 부상하고 있다. 배당이 급증하는 등 주주중시 경영이 확산되면서 매력적인 시장으로 변해가고 있는 것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저평가요인 해소→외국인 매수→시장규모 확대→시장 레벨업'의 선순환구도가 형성되기 시작했다는 말이다. 물론 단기적으로 변수가 없는 것은 아니다. 북핵문제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잠재된 악재임에 틀림없다. 또 1,000선 돌파에 따른 저항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수급의 질이 달라지고,경기도 바닥권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보면 한국증시는 상승세의 초입에 와 있다고 할 수 있다. 조주현 기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