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외무 "6자회담 위한 양보 없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미 양국은 북한이 이른 시일내 6자회담에 복귀토록 회담 참여국간 양자,다자간 외교 노력을 신속하고 강력히 전개하기로 합의했다.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14일 국무부에서 조지 W 부시 2기 행정부 출범 후 첫 회담을 갖고 이같이 합의했다.
양국 장관은 북한이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핵무기 보유 선언을 했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했다.
또 북핵 문제의 외교적,평화적 해결 원칙을 재확인했고 이를 위해 중국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점도 공감했다.
반 장관은 중국과의 협의를 위해 "전화통화 외에 방중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일정을 맞춰볼 것"이라고 말했다.
회담에서 라이스 장관은 "6자회담 결렬은 받아들일 수 없으며,한반도 비핵화 원칙은 계속 준수돼야 하고,북한에 의한 (핵물질 등의) 확산 위험을 경계해야 한다"는 3대 원칙을 제시했고,반 장관은 이 같은 원칙을 관철시키기 위해 긴밀하게 협의하자며 공감을 표시했다.
북한의 핵무기 능력에 대해 반 장관은 미국측에 "한·미 정보 당국이 좀 더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해 판단 기준을 갖는 게 중요하다"고 제의했으며 미국도 이에 동의했다고 전했다.
한·미 관계와 관련,양국간 동맹의 미래상을 더욱 구체화하기 위한 체제를 갖춰나가기로 하고 이를 위해 오는 11월 부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 다양한 기회에 양국 정상회담을 개최키로 했다.
또 주요 대화 채널로 양국 외교차관간 전략대화를 만들어 오는 6월 이전 이태식 차관과 로버트 죌릭 부장관 지명자간 1차 회의를 열기로 했다.
두 나라 외교부,국방부,국가안전보장회의 등 외교안보기관 국장급 고위 실무자들간 '리트리트(자유토론회)'도 가급적 가까운 시일 내에 워싱턴 근교에서 갖기로 했다.
한편 리처드 바우처 국무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미국을 포함한 6자회담 참여국들이 북한에 양보하지 않을 것이고 북한의 불법 활동도 면밀히 감시하겠다"며 "북한이 6자회담 재개를 어렵게 한 데 대해 보상해주면 안된다는 점을 회담 참가국들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