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건설업체간 사활을 건 재개발 수주전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재개발사업 시공사 선정시기가 기존의 사업시행인가 이후에서 조합추진위 설립 시점으로 앞당겨질 예정이어서 시공사들은 법(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이 이뤄지자마자 수주전에 뛰어들 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있다. 이미 강북과 부산의 유망 재개발지역에선 물밑에서 대형 업체들간 전초전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추진위 설립 단계에서 시공사 선정 가능 지난해에는 재개발 수주전이 거의 없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이 시공사 선정 시점을 사업계획승인 이후로 하도록 규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재개발 추진위는 자금력이 없어 자력으로는 재개발을 진행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었다. 정부는 이같은 현실을 감안,현재 개회 중인 임시국회에서 도정법을 개정해 사업초기부터 시공사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개정안 법조문에 대해 업체들은 '조합추진위 설립' 이후부터 시공사 선정이 가능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따라서 법 개정안이 시행되자마자 곧바로 시공사 수주전에 뛰어들 계획이다. ◆서울 강북 주요지역에서는 이미 뭍밑 전쟁 시작 재개발구역이 몰려있는 서울 강북에선 벌써부터 시공사들간의 물밑 경쟁이 치열하다. 마포구 상수동 용강동 등에서 삼성물산과 LG건설이 격전을 준비하고 있다. 두 회사는 벌써부터 조합원들을 상대로 구애작전을 펼치고 있다. 구역 규모가 6만평에 달하는 은평구 갈현동의 경우 삼성물산 LG건설 대림산업 등 대부분의 대형업체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 이밖에 강북구 미아동,영등포구 신길동,동대문구 청량리 인근 등지에서도 업체들이 표 확보 작업에 들어갔다. LG건설 관계자는 "택지지구의 택지 공급이 드문데다 재건축 수주전도 거의 마무리된 상황이어서 재개발외엔 새로운 사업부지가 없는 상황"이라며 "상반기엔 업체들이 사활을 걸고 재개발 수주전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부산지역으로 수주전 확대 서울 강북지역뿐만 아니라 부산지역도 업체들의 각축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재개발기본계획에 포함된 지역 중 10여곳에서 업체들이 물밑 수주경쟁에 돌입했다. LG건설이 공격적으로 부산시장을 공략하고 있고 코오롱 두산 등도 이 지역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일부 구역에서는 금품공세까지 동원되는 등 혼탁양상까지 벌어지고 있다. 김구철 리컨앤시티 사장은 "이른바 '찜'을 해놓은 지역에선 업체간 기득권 빼앗기 경쟁이 벌어지는 한편 아무도 선점하지 못한 지역에선 먼저 깃발을 꽂으려는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