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안법,과거사법, 사립학교법 등 이른바 `3개법안'의 처리 문제를 놓고 한나라당 내에서 갈등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있다. 박근혜(朴槿惠)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는 경제상황이 좋지 않은데다 북한핵 문제까지 불거진 마당에 2월 임시국회에서 국보법 등 쟁점법안을 다루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반면 소장 개혁파 의원들은 지난해말 정기국회에서 여야 합의로 `3개법안'을 다루기로 한 만큼 이번 국회에 이 법안들을 논의하지 않는 것은 명분이 없다는 논리로반박하고 있다. 따라서 여당이 이번 3개법안 처리를 위한 강한 드라이브를 걸 경우 대처 방안을놓고 한나라당 내부의 갈등이 표면화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박 대표는 16일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 "민생문제가 어렵고 북핵문제가 터진 시점에서 한가하게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와 관계없는 법안을 다룰 때가 아니다"면서 "이번 임시국회에서 쟁점법안을 갖고 정치적 논의를 하는 것은 국민의 뜻과 정서에 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표의 이같은 언급은 임시국회에선 국가보안법, 과거사법, 사립학교법 등 `3개법안'을 비롯한 쟁점법안은 다루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김덕룡(金德龍) 대표 주재로 정책위의장, 사무총장 등 당 지도부와 국회 법사,행자, 교육위의 소속 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날 낮 열린 쟁점법안 대책 오찬간담회에서도 이번 국회에선 3개법안을 다루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참석자들은 "국민이 정치권에 대해 경제살리기와 북핵해결 등 시급한 민생현안에 매진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만큼 2월 국회에서 3개법안을 다루는 것을 유보해야한다"는 입장을 개진했다고 이정현(李貞鉉) 부대변인이 전했다. 김 원내대표도 "2월 임시국회는 기본적으로 민생국회"라면서 "쟁점이 되는 법안들을 다루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특히 김 원내대표는 "상임위 차원에서 대응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당대당차원에서 협상을 진행하고, 협상 결과를 보고 의총에서 당론을 변경할 부분이 있으면 변경하면 된다"고 상임위 차원이 아니라 여야 원내대표 라인을 통해 3개법안 문제를 다뤄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보수성향 의원모임인 자유포럼 소속의 안택수(安澤秀) 의원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2월 임시국회에서 가능한 그런 문제는 다루지 않는 것이 좋다"면서 "만일열린우리당이 국보법 폐지안 상정을 시도한다면 심각한 사태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내에선 여야가 지난해 말 정기국회에서 `3개법안을 2월 임시국회에서다루기로' 합의한 만큼 여당의 3개법안 처리 요구를 마냥 거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당장 국회 법사위 최연희(崔鉛熙) 위원장과 장윤석(張倫碩) 간사는 이날 쟁점법안 대책 간담회에서 국가보안법이라는 최대 쟁점법안 처리 문제에 대한 고충을 털어놓았다. 이들은 "법사위가 열리면 열린우리당은 국보법을 상정하려고 나올 것인데 이를막을 명분이 없다"면서 "상정이라도 하게 당론을 변경해 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장.개혁파 의원들 모임인 수요모임도 이날 오전 모임을 갖고 이번 임시국회에서 3개법안을 다뤄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이같은 뜻을 당 지도부에 전달키로했다. 이성권(李成權)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여야 합의정신을 살려 3개 법안을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발전연 소속의 홍준표(洪準杓) 의원은 "우리가 앞장서 처리하자고 조를 필요는없지만 상정해서 다룰 수는 있는 것이 아니냐"면서 융통성을 보였다. (서울=연합뉴스) 정재용 김경희기자 jjy@yna.co.kr kyung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