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외교 "북핵 해결없인 대규모 경협없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는 북한의 6자회담 조기 복귀를 촉구하되 6자회담이 본격화되기 전까지는 인도적 차원의 대북지원과 현상유지 차원의 남북경협만을 지속해나간다는 입장을 정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16일 청와대에서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북한은 6자회담에 조속히 복귀해야 한다"며 "북한은 회담장에 나와 주장할 게 있으면 주장하고,입장이 다른 게 있으면 자신의 입장을 개진해 진지한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또 "상황 하나하나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냉정하고 차분하게 분석해 신중하게 대처해달라"고 지시했다.
이에 앞서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은 이날 기자브리핑에서 "한·미 외교장관회담에서 북핵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규모 남북경제협력을 해나갈 계획이 없고,북한에 인도적 차원에서 제한된 범위의 쌀과 비료를 지원해왔으며,개성공단사업도 소규모 '시범'프로젝트라고 설명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에 미국측은 특별한 제안이나 코멘트를 하지 않아 우리 정부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는 북한의 요청대로 식량난 해소를 위해 비료 50만t 전량을 지원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노 대통령에게 건의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대북지원정책을 주문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조찬강연에서 "지금 북한에 대해 제재나 압박을 논의하는 것은 너무 성급하다"며 "북한 외무성 성명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평화번영정책 기조를 바꿀 하등의 이유가 없으며 북한의 남쪽에 대한 기본신뢰는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반 장관은 리자오싱 중국 외교부장과 전화통화를 갖고 6자회담의 조기 재개를 위해 중국측이 적극적으로 노력해 줄 것을 요청했다.
6자회담 한국측 수석대표인 송민순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17일 베이징에서 우다웨이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협의를 벌인다.
허원순·정종호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