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수시 전형에서 고교 간 학력차를 반영해논란을 빚은 대학들이 `등급제' 파문이 남긴 부정적인 이미지를 털어내기 위해 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발표한 고려대, 연세대, 이화여대의 2006학년도 대입전형 계획에는 지난해 고교 간 학력차를 반영해 교육부의 지적을 받은 이들 대학이 실추된 이미지를 회복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엿보인다. 대학들은 입시제도 변화가 `등급제 논란'과 무관하게 당초부터 추진돼 온 사안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등급제 파문이 남긴 오명을 벗어나기 위해 한 학기동안 고심했음을 보여준다. 우선 고대와 연대는 사회적 배려대상자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입시제도를 도입했다. 등급제가 강남 등 일부 지역 수험생을 암암리에 우대하는 `불공정한 룰'로 사회적 비난을 받은 데 대한 `자성의 조치'로도 해석된다. 연대는 내년도 수시전형에서 기초생활수급대상자 120명을 선발해 4년 간 학비와도서 구입비를 제공키로 했으며 원주 캠퍼스의 경우 강원 지역 학생 50명을 특별 전형으로 따로 뽑기로 했다. 또 수시 전형에서 학생부 반영비율을 지난해 60%에서 올해 70%로 높여 내신 성적이 좋은 비강남권 학생들을 배려했다. 고대는 상대적으로 교육환경이 열악한 지방 학생들에게 문호를 넓히기 위해 지역인재 특별전형(수시1)을 신설, 서울과 광역시를 제외한 시.군(읍.면 포함) 지역고교 출신자 중 108명을 선발한다. 고대는 이밖에 학생부 보정치에 전년도 각 고교의 고려대로 진학자 수 등을 포함시키던 것을 지난 수시 2학기부터 제외해오고 있다. 이대는 실업계고 특별전형을 수시에 편성해 35명의 실업고 학생을 선발하며 `자기소개서'를 없애 학업 능력 외의 다른 요소가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로했다. 또 미래과학자나 외국어우수자 전형의 선발인원을 늘리는 등 특기자 전형을 다양화하고 수시에서 논술을 도입해 학생부와 면접 외에 학생들의 실력 평가 자료를구체화했다. 연대 박진배 입학처장은 "입시제도에 변화를 준 것은 등급제 논란을 의식한 것이라기보다 대학이 당연히 가야할 방향으로 가기 위한 조치로 봐야한다"며 "그래도결과적으로 이미지 회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조성현 기자 eyebrow76@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