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재테크 포인트] 글로벌 펀드 투기성향 강해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요즘 국내 재테크 시장에서 자금이동이 갈수록 빨라지는 추세다.
그런 만큼 앞으로 국내 재테크 자금흐름의 중요한 단서가 될 글로벌 자금이 올들어서는 어떻게 이동되고 있는지가 새로운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먼저 여건부터 살펴보면 세계경기는 이미 지난해 하반기를 기점으로 완만하나마 하강국면에 접어들었다.
대부분 예측기관들은 지난해 4%대로 추정되는 세계경제 성장률이 올해는 3%대로 소폭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가별로는 쌍둥이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미국과 경기조절에 나서고 있는 중국경기가 크게 둔화하지 않고 있는 반면 일본과 유럽경기는 의외로 부진하다.
연초 예상과 달리 국제간 자금흐름에 있어 달러약세보다는 국가별 금리차가 더 큰 변수가 되고 있다.
올해 들어서도 미국 및 미국경제와 연관이 많은 일부 국가들은 금리를 계속해서 올리고 있지만,일본 유럽 등은 경기 재둔화 우려로 현 수준을 그대로 유지해 금리차가 더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달러가치는 미국의 경상수지적자 문제를 달러약세만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엔화를 중심으로 주요 통화에 대해 회복세다.
또 다른 변수는 헤지펀드를 비롯한 투기자금들의 활동이다.
올들어 세계경기가 둔화되고 선진국들이 금리를 올리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투기자금들의 활동력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아직까지 누그러지지 않고 있다.
대부분 개인자금을 모집한 펀드들의 특성상 목표수익률을 맞추기 위해 지역간 혹은 투자대상별로 자금회전을 빨리하고 투자원금 대비 총투자 금액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여건을 토대로 지난해 이후 중국의 대체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인도 및 러시아 중남미 동유럽 지역에 글로벌 자금이 많이 유입되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중국의 고정환율제 포기여부가 국제간 자금흐름에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으나 이달초 런던 G7(선진7개국)회담을 계기로 중국의 입장을 지켜보자는 쪽으로 선회되고 있는 것이 선진국들의 입장이다.
투자대상별로는 채권,부동산 투자의 수익률은 하향 평준화 현상이 뚜렷한 반면 주식투자 수익률은 의외로 높게 나오고 있다.
특히 전문적인 운용주체가 관리하는 각종 주식형 펀드들이 봇물처럼 쏟아져 나오면서 대안투자로 각광 받고 있는 것이 우리와 비슷한 현상이다.
한가지 예의 주시해야 할 것은 올해 들어서도 국제간 자금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글로벌 펀드들의 투기성향이 더 강해지고 있는 점이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자산을 늘리기 위해서는 글로벌 자금의 향방을 예의 주시하면서 일단 투자수단과 대상을 선택하면 위험관리에 각별히 신경써야 함을 시사해 주는 대목이다.
한상춘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