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서 유통되는 휴대폰 가운데 75%가량이 밀수품인 가운데 '수입인지' 갈등을 겪고 있다. 이번 분쟁은 베트남 정부가 밀수품 근절책의 하나로 올 1월부터 수입된 모든 휴대폰에 대해 수입인지를 의무적으로 부착할 것을 지시하면서 비롯됐다. 정상적인 과정을 통해 수입된 것인 지 아니면 밀수품인 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수입인지 부착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정부측의 주장이다. 정부는 이에 따라 수입업체는 올해부터 수입된 휴대폰에 대해서는 가로 1㎝, 세로 2㎝ 크기의 수입인지(장당 가격 180원)를 산 뒤, 이를 배터리가 들어가는 부분에반드시 부착할 것을 지시했다. 이런 지시에 대해 수입업체들이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휴대폰 생산업체들이 제품을 빠르게 소형화하는 상황에서 인지를 부착하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은 데다 이로인해 수익도 줄어들기 때문에 비현실적인 조치라고 주장했다. 연간 100만대 이상의 휴대폰을 수입하는 최대 수입업체인 FPT측은 수입인지 구매비용으로만 연간 15만6천달러 가량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했다. FPT측은 또 "비용문제 뿐만 아니라 모든 휴대폰을 분해해 수입인지를 붙이고 다시 조립하는 데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필요한 만큼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고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했다. 이 회사는 대신 정상적인 경로를 통해 휴대폰을 수입했는 지를 입증하기 위해품질보증서를 제출하거나 휴대폰 화면에 인지를 부착하는 대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정부측의 입장은 단호하다. 이미 결정된 사안이기 때문에 이를 취소할수 없다는 주장이다. 타협에 실패한 수입업체들은 90일 간의 유예기간을 신청하는 방안을 통해 접점을 찾는다는 계획이다. 한편 베트남에서는 구매력 상승과 이동통신서비스업체들의 증가 등에 따라 연간400만대 가까운 신규 휴대폰이 유통되고 있으나 이 가운데 대부분은 중국, 캄보디아,태국 등에서 들어오는 밀수품인 것으로 밝혀져 당국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하노이=연합뉴스) 김선한 특파원 sh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