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새학기부터 고교 1학년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에서 과목별 성취도를 나타내는 평어(評語,수우미양가)가 없어진다. 또 초·중·고교생은 한 달에 한 번 토요일에 학교에 가지 않는다. 1일 교육인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말 확정된 '2008학년도 이후 대입제도 개선안'에 따라 올해 1학기부터 학생부 교과성적 기재 방식이 과목별 성취도와 석차를 기록하던 것에서 과목별 원점수와 석차등급(1∼9등급)을 적는 것으로 바뀐다. 원점수는 학생이 얻은 과목별 점수,평균,표준편차를 함께 표기해야 하고 석차등급도 과목을 이수한 학생의 재적수를 동시에 보여줘야 한다. 예컨대 A학교 어떤 학생의 어떤 과목 성적이 '90/80(5)'로 표시됐다면 이 학생은 평균이 80점이고 표준편차가 5인 상황에서 90점을 받았다는 것이고,B학교 학생의 같은 과목 성적이 '80/70(5)'로 표기됐다면 그 역시 평균 이상의 성적을 나타냈다는 뜻이다. 김현석 기자 reail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