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그룹은 '협력회사의 경쟁력이 그룹의 경쟁력'이란 판단 아래 협력회사 경쟁력 높이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룹의 맏형격인 LG전선의 경우 약 3천개 협력회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지원을 펼치고 있다. '우수한 협력업체 없이는 글로벌 경쟁에서 승자가 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LG전선은 이를 위해 안양 구미 인동 군포 등 LG전선의 사업장별로 협력회사들이 협우회를 구성토록 유도했다. 이들 협우회는 애로사항이 발생하거나 지원이 필요할 때는 LG전선측에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 1999년 전선업계 최초로 도입한 '인터넷 구매시스템'도 협력업체의 목소리를 가감 없이 듣고,개선해나가는 과정에서 나왔다. 이 시스템이 운영되면서 협력업체들도 견적가 조회,발주 현황,납품 현황 등 구매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자 모기업의 횡포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동시에 발주에서부터 구매까지 걸리는 시간이 10일 가량 단축됐다. LG전선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2000년에는 협력업체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던 어음결제를 없애는 대신 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전자결제시스템'을 도입했으며 2002년에는 3천여개의 협력회사가 각종 불만 및 건의 사항을 쏟아낼 수 있도록 회사 홈페이지에 '사이버 신문고'도 개설했다. 올 들어서는 협력업체가 납품하는 부품을 검증한 뒤 우수업체에 대해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품질인증제도 도입했다. 최우수 협력업체와 우수 협력업체로 선정된 회사에는 각각 2년 동안 유효한 '플래티늄 파트너'와 '골드 파트너' 인증과 함께 △임직원 해외 연수 및 사내교육 지원 △품질시스템 인증비용 및 거래대금 현금결제 △연구개발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LG산전은 "1등은 혼자 되는 게 아니다. 특약점 및 협력사 등 파트너가 함께 최고 실력을 갖출 때만 가능하다"는 김정만 사장의 경영방침에 따라 적극적인 '상생 경영'에 나서고 있다. LG산전의 대표적인 협력회사 지원 프로그램은 'ACE(Active,Challenge & Excellent,실행·도전·최고의 성과)'.이 프로그램은 LG산전의 혁신전문가를 3개월 동안 영업부문 파트너인 특약점과 생산부문 파트너인 협력사에 파견해 업무능력을 높여주는 제도다. LG산전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수십개에 달하는 특약점의 경영관리 능력과 함께 판매 역량도 한단계 끌어올렸다. 협력사의 경우 원가·품질·납기 경쟁력이 높아지는 동시에 효율적인 생산관리 시스템이 자리잡는 효과를 보게 됐다. LG산전은 앞으로 모든 특약점과 협력회사에 이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밖에 LG니꼬동제련 E1 극동도시가스 등 LS그룹의 다른 계열사들도 '상생 경영'을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주요 수단으로 삼고,다양한 지원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