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을 연결하는 동남권 광역클러스터 조성사업이 활기를 띠고 있다. 그동안 동남권 경제클러스터 형성에 이견을 빚었던 3곳의 지방자치단체가 최근 합동워크숍을 열어 동남권 클러스터를 구축,공동 발전을 모색키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현재 이들 지역에 소재한 1만9천여개의 사업체가 생산하는 규모는 모두 1백60조원에 달하며 이를 통한 부가가치는 55조원에 달하고 있다. 지역전문가들은 "3개 지역의 경제가 하나로 묶여질 경우 현재 1백60조원에 달하는 생산액 규모는 향후 20% 이상 증가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동남권 3개 지자체 협력방안=3개 지자체는 모두 5개 사업에서 공동발전을 추진키로 합의했다. 우선 3개 시·도가 참여하는 국제협력지원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부산·울산·경남소재 대학의 연구센터와 지역연구소를 연계해 기업 밀착형 지원체제를 갖추기로 했다. 아울러 기업들이 부산과 울산,경남의 해외무역사무소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합의했고 동남광역권의 경제 관련 데이터베이스(DB)도 함께 구축해 공동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이밖에 경제 관련 공동워크숍도 반기마다 한 차례씩 개최하는 등 정례화해 공동으로 정책개발에 나설 방침이다. 이영활 부산시 경제진흥실장은 "부산과 울산·경남은 기계와 자동차 조선 등 산업기반은 물론 서비스업 기반도 공유하는 사실상 하나의 경제권"이라며 "힘을 합하면 지방역량을 강화하는 동시에 급변하는 국제경제 환경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왜 동남경제권 광역클러스터인가=수도권에 대응하는 동시에 기계산업 등 3개 지역 주력산업의 도약과 자율기반을 강화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세계는 지금 대도시권간의 경쟁과 협력에 의해 재편되고 있다. 지역이 중심이 돼 세계경제와 직접 연결하는 구조로 바뀌고 있다. 따라서 광역경제권을 형성,지역경쟁력을 향상시키면 국가경쟁력과 직결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처럼 수도권에 자원이 집중되고 지방은 침체를 면치 못하는 구조로는 시대적 변화에 대응할 수 없고 지역균형발전과 분권을 이뤄내기 어렵다. 부산 울산 경남 등 동남권은 생활과 경제생활 산업 등 많은 부문에 연관성을 갖고 있는데 비해 산업구조의 전환지연과 수도권 집중화 등으로 경제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주수현 부산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각개전투식의 개별 약진은 효과가 떨어진다"며 "동남권이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수도권에 버금가는 실질적인 광역경제권과 분권·혁신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자율적 경제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광역권의 과제와 전망=지자체들이 이해관계를 적절히 조율하면서 사업을 실행하는 게 핵심이다. 부산과 진해에 걸쳐 위치한 신항만의 명칭을 둘러싼 부산시와 경상남도의 갈등을 잘 풀어나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부산발전연구원 금성근 선임연구위원은 "3개 지역이 행정구역과 기득권을 초월해 상호 협력하지 않으면 광역권 추진은 오히려 갈등을 증폭시킬 우려가 있다"며 "우선 이해관계가 없는 공동사업을 시행해 성과를 내면 사업을 확대하고 교통 인프라 구축을 통해 공동 생활기반을 더욱 편리하게 갖춰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전략산업기획단 원희연 단장은 "행정구역을 넘어선 광역경제권 구축은 세계적 추세"라며 "기계 관련 기업들이 동남권에 몰려있는 만큼 한·일 자유무역협정 등에 대비하고 공동사업 개발을 중앙정부에 건의하는 등 3개 시·도가 공동 대처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김태현·울산=하인식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