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07년께 노인전용 복합 주거단지가 대규모로 조성된다. 도시 인근에 조성될 이들 단지에는 노인주거시설은 물론 복지시설, 생산시설,체육ㆍ문화시설 등이 들어서게 된다. 실입주금은 7천만-8천만원 정도로 추산되고 있으며 생활비 등은 별도로 부담해야 한다. 보건복지부는 7일 이같은 내용의 농어촌 복합 노인단지 조성 시범사업을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고령화사회를 맞아 우리나라에서는 새롭게 도입하는 `실버 거주' 형태가 될 것으로 보여 향후 노후 생활 문화에 미칠 파장이 주목된다. 단지는 3만-10만평 규모로, 도시 인근의 주변 경관이 좋고 경사가 완만한 곳이 선정된다. 일단 전국 지자체로부터 신청을 받아 4곳을 선정, 시범 운영한 뒤 결과를 봐가며 노령화사회에 본격 진입하는 2010년을 전후한 시점부터 대거 확장해 나간다는 게 복지부의 방침이다. 이곳에는 노인요양시설, 노인복지회관, 양로시설, 유료노인복지주택, 은퇴농장,수공업장, 게이트볼장, 공연장, 수영장 등이 입주하게 된다. 생산과 복지, 소비를 할 수 있는 복합 공간인 셈이다. 주택건립 등에 민자 참여를 유도하고 시설 관리ㆍ운영은 지자체가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회복지법인 등 전문기관에 위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주택구조는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 등 다양한 형태가 구상되고 있다. 건립부지는 지자체가 마련하고 시설 신축은 국고 및 지자체 부담으로 한 곳당 35억원씩 지원된다. 복지부 박하정 인구가정심의관은 "우리 사회가 급속히 고령화 되고 있어 활기찬노후를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도시 인근 지역에 쾌적하고 안락한 주거환경을 제공하면 도시 은퇴노인의 농어촌 정착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욱기자 hj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