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 아마지안 일본 히토쓰바시대학 교수는 "지배구조 문제를 정치적 이슈화하는 것은 주주들의 이익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8일 연세대 경영연구소가 주최하고,한국경제신문사와 삼성경제연구소 후원으로 연대 상남경영관에서 열린 '제1회 아시아 기업과 자본주의' 포럼 참석차 한국을 찾은 아마지안 교수는 포럼에 앞서 가진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일본기업지배구조연구소(JCGR) 연구위원으로도 활동 중인 그는 일본 내 손꼽히는 기업지배구조 문제 전문가다. 아마지안 교수는 "한국 정부는 한국 기업지배구조가 갖는 여러 측면 중에서 일부 단점만을 부각시켜 이를 정치적으로 풀고자 한다"며 "이런 시도가 주주들의 부를 극대화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소버린과 같이 불투명한 지배구조를 가진 기관이 한국 기업들에 지배구조 투명성을 요구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헤지펀드의 기업 소유에 대해선 한국 정부가 제재를 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마지안 교수는 "외국인인 내가 보기에도 한국 대기업의 지분 60%를 외국인이 소유하고 있다는 건 위험해 보인다"고 꼬집었다. 이번 '아시아 기업과 자본주의' 포럼은 연대 경영연구소가 한국적 현실에 맞는 기업지배구조를 연구하기 위해 올해 처음 발족시킨 것으로 앞으로 매달 1∼2회씩 국내외 최고 수준의 기업지배구조 전문가들을 초청,포럼을 열 계획이다. 포럼 준비를 맡은 신현한 연대 경영대 교수는 "영·미식 기업지배구조는 자본시장이 고도로 발달된 국가에서만 가능한 것이지 결코 보편화된 것은 아니다"며 "한국의 제도와 경제발전 단계에 적합한 기업지배구조를 찾는 것이 포럼의 목적"이라고 밝혔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