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열린우리당이 수도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을 지방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대통령 전용기 및 군용 수송기 이착륙장 등으로 활용 중인 서울공항 부지가 주거지역으로 개발될 경우 수도권 주택시장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고도 제한에 걸려 건축 허가를 받지 못한 잠실 제2롯데월드 건립 사업도 본궤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김한길 열린우리당 수도권발전대책특위 위원장은 8일 국회에서 수도권 발전대책에 대한 당정 간담회를 가진 뒤 기자들과 만나 "수도권 주변에 군 주둔지로서의 성격을 상실한 지역에 있는 부대를 이전하는 문제를 논의해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예컨대 서울공항에 대해서도 여러 활용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공항의 경우 군사적 효용가치를 정확히 모르기 때문에 국방부 등과 논의해 봐야 한다"고 전제한 뒤 "다만 지리적 요건으로 볼 때 서울공항 땅은 수도권 경쟁력 제고를 위해 쓰일 수 있는 입지"라며 이전 가능성을 시사했다. 서울공항 이전의 필요성과 관련,여당 고위 관계자가 이전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성남시는 지난해 말 서울공항 1백20만평을 포함,주변 2백만평을 강남권 대체 주거단지(가칭 둔전 신도시)로 개발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는 '2020년 도시기본계획 변경안'을 확정,경기도에 제출해 놓은 상태다. 그러나 국방부 관계자는 "수도권 내 대체공항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이전 불가라는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만약 김포공항으로 옮긴다 해도 대통령 등 VIP들의 보안을 위해 최대 두 시간가량 공항을 통제해야 하는 불편을 민간 항공사나 공항 이용객들이 감수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김수찬·박해영 기자 ksc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