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분식회계에 대한 면책 등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담고 있지는 않지만 이번 협약은 과거의 잘못을 파헤치기보다는 깨끗한 미래를 약속하고 실천해 나가고자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그러나 과거의 잘못이 악의적이고 치부를 위한 것이었다면 법에 따라 엄정히 처리해야 할 것"이라며 "이는 사정기관의 책임"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99년 한국투명성기구의 전신인 반부패국민연대를 설립한 이래 반부패 운동을 벌여온 그는 "과거에는 기업들이 여건상 어쩔 수 없이 정치권에 불법자금을 전달했지만 이제 정부 정치권 등 다른 영역으로부터 자유롭다는 것을 기업들도 알고 있다"며 "이번 협약이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김 사무총장은 특히 "1천만명의 국민이 시민참여헌장에 동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이같은 시민들의 참여와 지지,그리고 감시가 곧바로 사회적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제투명성기구(TI)의 활동 철학은 전체적인 접근(holistic approach)과 연합의 구축(coaliton building)이 가장 중요한 두 축"이라며 "정부 정치권 경제계 사회단체 중 한 영역만의 노력으로는 부패를 없앨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래서 4개 영역이 모두 참여하는 투명사회협약을 제안한 것이고 모든 영역에서 이제는 할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국가별 부패지수를 발표하는 TI의 이사로 선출된 그는 "우리나라의 이번 협약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것"이라며 "해외에서도 한국의 변화를 기대어린 시선으로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