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지방을 위해 수도도 옮기는데 낙후지역으로 도청을 옮기는 것이 마땅하다." 수도분리에 이어 공공기관의 지방분산이 가시화되면서 지역마다 해묵은 '도청 낙후지역 이전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이는 현정부의 지역균형발전정책을 광역자치단체(도) 단위에도 그대로 적용하려는 것으로 지방이 중앙의 정책논리를 그대로 '복사'하는 셈이다. 행정중심도시가 건설되는 충남의 경우 도내 각 시·군이 지난해 신행정수도 건설 계획으로 진통을 겪으면서 잠정 보류했던 도청 유치전을 재개해 도청 이전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상태다. 홍성군은 대전에 있는 충남 도청을 유치키로 하고 도청유치자문위원회를 확대 개편하는 등 이달 들어 본격적인 유치 운동에 나서고 있다. 예산군 역시 도청유치팀을 재가동하며 본격적인 유치활동에 돌입했다. 당진군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기존의 도청 유치와 당진시 승격 추진 준비위원회를 이달 중 정식 추진위원회로 출범시켜 각종 토론회와 심포지엄을 개최,도청 유치의 당위성을 홍보할 방침이다. 대구에 있는 경상북도청 이전 문제도 과거 단체장 선거가 있을 때마다 단골 선거 공약으로 거론됐다는 점에서 새로운 불씨로 타오를 수 있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강원도의 경우도 도청소재지인 춘천이 도내 중심도시로서의 역할에 한계가 있는 만큼 균형 발전과 전체 강원도민의 편의 증진을 위해 도청을 다른 지역으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대전=백창현·대구=신경원 기자 chbai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