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총리 인사가 늦어지고 있다. 9일까지만 해도 '강봉균 우세속,윤증현과 양자 중 택일'이 확실시됐으나 10일에는 '신명호카드'가 급부상,외형상으로는 균등한 3파전으로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러나 신명호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61)은 새로운 대안일 뿐 무게중심은 여전히 강·윤 후보에게 더 쏠린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0일 "신 고문이 새로 추가돼 3명을 병렬로 놓고 볼 것"이라며 "최종 결정은 이번주에 쉽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강봉균 의원과 윤증현 금감위원장이 후보에서 빠진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최종 낙점을 앞두고 청와대의 고민은 '누가 경제살리기에 더 적임일까'가 아니라 '누가 (도덕적·법적) 하자가 적고,누구를 기용하면 여론이 나을 것인가'에 더 치우쳐 있다. 시장친화적 인사 여부,경제살리기 정책의 일관성 유지,미래지향적으로 기업의 투자의욕 고취,서민·중산층 살리기 대책 마련 능력 등 평가의 본질은 뒷전이 된 셈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정무적 판단' 등에서 강 의원의 강점이 많지만 유학 중인 아들의 병역미필에 대한 검증·판단이 끝나지 않았다"며 "자체 결론과 별개로 '국민정서법'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도 고민"이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의 결정이 늦어지는 것도 이 부분에 대한 민정수석실의 실사 검토가 끝나지 않았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참여정부' 초기부터 입각 제의를 받아온 강 의원은 의지가 없지 않지만 업무능력이나 정책수행의 적정성을 따지는 외에 아들문제 등으로 여론의 평가를 받게 된다면 굳이 행정부에 들어가지 않겠다는 분위기다. 윤 위원장은 최근 노 대통령에게 "강 의원이 현재의 적임자"라고 강력히 천거하고,본인은 금융부문에서 좀더 일하고 싶다는 의사를 직접 밝혔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윤 위원장은 또 금명간 해외출장을 나설 예정인데 노 대통령이 이에 대해 결재를 했다. 이런 상황에서 청와대가 신명호 카드를 꺼내 여론에 적극 노출시켰다. 그러나 그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성격에도 불구하고 "10년 전에 정부를 떠나 정책의 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우리금융 회장 공모에서도 떨어진 인사가 정부의 경제팀장으로 제 역할을 할 수 있겠느냐"는 등 비판적인 평가가 경제관료 내부에서부터 나오고 있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