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당국의 환율방어 능력이 한계에 달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외환시장에 투입할 '실탄'이 바닥을 드러내고 있지만 외환시장 안정용 국채를 더 찍을 형편이 못 된다는 진단이다. 섣불리 국채 발행물량을 늘릴 경우 시중금리 상승을 부추겨 모처럼 살아나고 있는 내수시장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정부가 발행할 수 있는 외환시장 안정용 국채 발행한도는 총 21조9천억원어치. 이 가운데 1월과 2월에 각각 5조원과 2조원어치를 발행,7조원을 마련했다. 그러나 7조원 중 2조원은 상환용 자금이므로 실제 손에 쥔 방어자금은 5조원에 불과하다. 그나마 올 들어 환율이 줄곧 내리막을 걷는 통에 조금씩 달러매수 자금으로 써 버려 현재는 외환시장 개입용 곳간이 거의 비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하지만 금리 상승 우려로 국채를 마냥 찍어낼 수도 없다. 실제로 지난 1월엔 5조원 규모의 외환시장 안정용 국채를 포함해 총 8조원 규모의 국채를 한꺼번에 발행하는 바람에 국고채 금리가 급등하는 등 큰 혼란을 겪었다. 국내은행 딜러는 "외국 투기세력이 한국 외환시장을 노리는 근거도 외환당국의 이 같은 방어능력 약화에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분석에 대해 외환당국은 "근거가 없는 추측에 불과하다"는 반응이다. 외환시장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언제라도 국채를 발행할 계획인데다 한국은행의 발권력을 감안할 때 원론적으로 방어자금은 얼마든지 마련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재정경제부 관계자는 "외환위기 때처럼 원화 환율 상승세를 막기 위해 달러를 팔아야 할 때는 환율방어 자금에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지금은 상황이 정반대"라고 강조했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