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수 < 한국제약협회 회장 > 정부는 2년 전 바이오신약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선정한 후 이렇다할 육성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그런데 최근 산자부가 코리아바이오허브센터를 설립하고 바이오스타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바이오 신약 개발을 목표로 한 산업자원부의 전략적 육성대책은 시의적절한 것으로 평가된다. 산자부가 지원하는 서울대 코리아바이오허브센터는 향후 생명현상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증명하여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기반기술을 관련 산업계에 제공한다고 한다. 따라서 차세대 성장동력인 제약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산자부는 최근 바이오스타 프로젝트에 10년간 2천6백억원을 투입,글로벌 바이오스타 제품의 사업화를 추진키로 하고 후속 작업에 나서고 있어 기대가 크다. 제약업계를 신명나게 하는 것이 또 하나 있다. 지난 9일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이 "IT(정보기술)산업에 이어 BT(바이오기술)산업을 국가중심 산업으로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정책 방향이 잡힌 만큼 이제는 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신약 개발 전략에 시동을 걸어주길 바란다. 복지부는 그동안 신약개발 자금을 꾸준히 늘려 왔으며 출연기관을 통해 연구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매칭펀드 형식으로 지원해 오고 있다. 그러나 보험약가 정책과 관련,연구개발투자 여력을 잠재울 정도로 규제를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선정됐음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전략적 육성 대책에 대한 고민은 부족한 것으로 생각된다. 업계는 복지부가 제약산업을 보건 의료서비스 분야의 인프라로 보는 시각을 바꿔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로 보는 산업 마인드를 가져주길 바라고 있다. 물론 제약업계가 모든 것을 주무 부서에 의지하려고 해서도 안 된다. 그래서 업계 나름대로 5백억~6백억원을 투자해 수천억원의 수익을 창출하는 개량 신약 전략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개량 신약을 통해 벌어들이는 이익은 종잣돈으로 재투자되고,신약개발 경험을 잘 쌓으면 혁신적인 신약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현재 임상 중인 신약은 30개,물질 탐색 중인 것은 23개에 이른다. 이미 제품으로 시판되고 있는 9개의 신약에 이어 올해도 2~3개의 신약이 선보일 예정이다. 복지부는 이러한 업계의 노력이 결실을 볼 수 있도록 유연한 약가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정부는 약값을 깎으면 보험재정이 절감될 것이라는 좁은 시각으로 약가를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저가약은 퇴출되고 고가약은 불러들이는 풍선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15년이라는 세월이 걸리면서도 성공할 확률은 희박한 신약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은 도박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개발 투자비 전액에 대해 세금을 면제해 주는 세금 인센티브 전략으로 기업이 신명나게 연구개발에 투자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뿐만 아니다. 전략적 육성 대책을 잇따라 짜내야 한다. 제약 업계는 현실적이고 전략적으로 육성 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로드맵을 주무 부서가 만들어 주길 바라고 있다. 물론 제약업계도 경쟁력 있는 신약을 개발해 수출을 늘리고,고용을 창출해 국가경제에 기여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