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가 대기업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중견 전문인력을 중소기업에 파견,중소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대기업의 기술 및 경영 노하우를 중소기업에 전수하는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방안을 내놨다. 전경련은 17일 발표한 '중소기업의 대기업 중견인력 활용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대·중소기업간 인력활용 제도를 민간 차원에서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제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약을 맺어 대기업은 자사의 인력 데이터베이스를,중소기업은 필요한 인력의 내용을 각각 인력활용 제도 운영기관에 제출해 운영기관을 통해 인력교류가 이뤄지는 것이다. 대기업 파견인력의 인건비는 파견 전 3개월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분담하고 분담비율은 당사자 합의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이번 제도가 본격 가동될 경우 낮은 임금수준,열악한 근로조건 등으로 우수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중소기업들의 인력난이 크게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국내 전체 고용의 85%,수출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이 대기업 중견인력을 활용해 대기업과의 원활한 정보교환,기술 전수 등을 통해 기술력과 경영능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경련 관계자는 "일본의 인력파견(출향)제도가 대기업 인력의 고용유지를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이번 제도는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도하고 경영 노하우를 전수하는 등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경련은 지난해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와 공동으로 구성한 '대·중소협력위원회'에서 세부적인 논의를 거쳐 이 제도를 우선 재계 스스로 실천해 나갈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가 중소기업의 임금부담분을 일부 지원하는 등 지원에 나설 경우 이번 제도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란 판단에 따라 정부와 제도 시행방안을 협의 중이다. 이병욱 전경련 상무는 "이번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면 국가적으로 인력활용의 효율성을 높여 일자리 창출,영세기업 및 자영업자 난립 방지,대·중소기업간 동반성장 기초 구축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경영 기자 long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