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18일 김대중(金大中) 정부 초기에 체결된 제2차 한일어업협정이 독도에 대한 우리나라의 영유권을 약화시킬 소지가 있다면서 재협상의 필요성을 적극 제기하고, 2004년 국방백서에서 독도가 누락된 경위에대해 추궁하기로 했다. 한나라당은 이날 오전 염창동 당사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한일어업협정이 분명히 여러 결함이 있으며, 중간수역 기점을 변경해 경제성보다는 영토를 중요시하는 재협상이 필요하다는 점에 의견을 모았다고 이정현(李貞鉉) 부대변인이 밝혔다. 한나라당은 4월 임시국회가 열리는대로 국방, 통일외교통상, 농림해양수산, 산업자원, 교육, 행자위 등 관련 상임위에서 한일어업협정 체결 당시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2004년도 국방백서에 독도가 누락된 경위 등을 집중 추궁하기로 했으며, 미흡할 경우 감사원 감사를 요청하기로 했다. 맹형규(孟亨奎) 정책위의장은 이날 회의에서 "한일어업협정시 서두르다가 독도를 중간수역에 넣는 실수를 했다"며 "독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권이 훼손되는데 왜서둘렀는지 의혹이 풀리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맹 정책위의장은 또 "국방백서에서 왜 독도를 뺐는지 국회 상임위에서 철저히추궁하고 정부의 해명이 미흡하면 감사원 감사를 요청하겠다"며 "(어업협정과 국방백서에 대해) 국회 국정감사를 신청하는 문제를 당 차원에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상배(李相培)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독도는 EEZ(배타적경제수역)에들어가야 하는데 사람이 생활하지 않는 곳이어서 인정을 못 받는다면 최소한 울릉도를 기점으로 경계를 정해야 한다"며 "울릉도를 기점으로 하면 중간수역 경계가 독도동쪽 19해리까지 나갈 수 있는데 지금은 오히려 독도 서쪽 12해리가 경계"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한일어업협정을 늦추더라도 천천히 했어야 하는데 외환위기로 인해김대중 정부가 서둘러 협상을 했다"면서 "협정은 99년1월부터 3년후까지 효력이 있고 양측의 이의제기가 없으면 유효하지만, 언제든지 이의제기를 하면 재협상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한나라당은 강재섭(姜在涉) 원내대표와 김무성(金武星) 사무총장, 맹 정책위의장 등이 헬기편으로 독도를 방문해 현지에서 간이 당직자회의를 열고 독도수비대에 이순신 장군상과 거북선 모형 등 기념품과 위문품을 전달하기로 했다. 한나라당은 또 당내에 독도 및 역사교과서 왜곡 관련 대책특위를 구성해 4월 국회에 대비하기로 했으며, 독도에 이순신 장군 동상 형태의 등대 등 조형물의 설치를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류성무기자 tjd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