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孫鶴圭) 경기지사가 행정도시특별법 국회통과에 따른 후속조치 문제를 지렛대로 자신의 대권플랜을 가동하기 시작한 느낌이다. 내년 지사직 재선에 도전하지 않겠다며 사실상 차기 대선출마 의사를 기정사실화한 손 지사는 박근혜(朴槿惠) 대표와의 전략적 제휴에 이어, 여권으로까지 행동반경을 넓혀가며 `대망'을 향한 야심찬 발걸음을 내디디고 있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 손 지사는 18일 열린우리당 원혜영(元惠榮) 정책위의장을 만난 데 이어 오후에는 이해찬(李海瓚) 총리를 만나 행정도시법 국회 통과에 따른 후속대책으로 수도권규제혁파와 과감한 지방분권 정책을 촉구할 예정이다. 대권을 염두에 두고 있는 손 지사가 필연적인 경쟁진영인 여당 쪽과 수도권 개발문제를 논의하는 것 자체가 `파격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손 지사는 이날 원혜영 정책위의장과 만난 자리에서 자신의 행보에 대한 한나라당 안팎의 시선을 의식한 듯 "내가 혼나는게 문제가 아니다. 이번 일이 계기가 돼서 국가적 균형발전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수도권의 경기지사를 맡고 있지만 국가균형 발전차원에서 행정도시법 통과에 찬성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큰 그림'을 볼 줄 아는 정치인임을 과시하기 위한 그의 속내가 읽혀지는 대목이다. 그의 이런 언행은 결국 행정수도법에 대한 찬성으로 충청권 표심을 견인하는 동시에 행정기관 이전문제로 불만이 커져가고 있는 수도권에 대한 경쟁력 회복을 주장하고 나섬으로써 수도권의 민심도 얻겠다는 양수겸장의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손 지사는 이로써 당내 대권경쟁에서 다소 뒤쳐져 있던 자신의 위상을 일거에 업그레이드하는 효과도 노리고 있는 듯 하다. 전체적으로 박근혜 대표와 이명박(李明博) 서울시장의 대립구도 속에서 그에 버금가는 스포트라이트를 받지 못했던 손 지사가 행정도시법의 틈새를 적절히 파고들어 대권주자로서의 자신의 `몸값'을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박 대표는 당내 행정도시 반대파의 반발을 완전히 잠재우지 못해 경황이 없고,이 시장은 수도서울 지키기에 `올인'하고 있는 상황에서 손 지사는 비교적 홀가분한 입장에서 행정도시법 문제를 적극적으로 자신의 정치적 자산으로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분석마저 나온다. 이런 손 지사의 행보에 대해 당내 반응은 엇갈린다. 부산지역의 한 중진의원은"활발한 자기역할을 하는 것"이라며 "행정도시법을 계기로 자신의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만들어나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수도권의 한 중진의원은 "지난번 수도이전에는 반대하더니 이번 `수도분할'에는 찬성한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일관된 행보가 아니다"라며 "특히 여권과 교감을 해서 자기 이미지를 내세우는 것은 야당 정치인으로서 올바른 자세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기자 sout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