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장들은 최근의 환율하락과 유가상승의 부정적 영향이 그다지 크지 않을 것이라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박승 한국은행 초청으로 시중은행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18일 한은에서 열린 월례 금융협의회에서 참석자들은 정보기술(IT)과 조선, 철강, 자동차 등 주력산업이 세계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가운데 3년째 지속되는 달러약세에도 불구, 수출이 견실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원화절상과 유가상승의 부정적 영향이크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은행장들은 또 각종 경제지표의 움직임에 비춰볼 때 경기회복세가 점차 가시화될 것이라는데 의견을 함께 했다. 다만 수출관련 업체를 제외한 많은 중소기업들이 환리스크에 무방비인데다 대기업이 환율부담을 전가하는 경우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중소기업 경영환경의 악화가 고용사정을 지연시키는 요인이라고 참석자들은 지적했다. 은행장들은 과거 주가지수 1,000포인트 전후 시기에 비해 최근은 시장금리가 절반수준인데다 주가수익비율(PER)이 크게 낮은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도 1,000포인트대를 계속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박승 한은 총재는 지난해 은행들이 사상 최고의 이익을 냈고 대손충당금 적립부담도 감소하고 있어 이러한 여력을 활용, 신용불량자 문제 해결에 적극 협조해줄 것을 당부했다. 박 총재는 이와 함께 올해들어 위조지폐가 급증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각 은행에서도 위폐감식기의 확대 비치 등을 통해 위폐식별과 발견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줄 것을 당부했다. 이날 협의회에는 황영기 우리은행장과 김승유 하나은행장, 신상훈 신한은행장,리처드 웨커 외환은행장, 최동수 조흥은행장, 강권석 기업은행장, 이윤우 산업은행부총재, 이지묵 농협 신용대표이사, 장병구 수협 신용대표이사, 이규 수출입은행 전무 등이 참석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기자 sh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