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운노조 "노무공급 독점 포기"..비대위, 개혁안 제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산항운노조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조영탁 한국항만연수원 원장)는 노조 개혁을 위해 채용비리 온상으로 꼽혀온 독점적 노무공급권을 포기하고 노조위원장 직선제를 도입키로 했다.
비대위는 18일 부산 동구 항운회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항운노조 운영의 민주화와 부산 항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항운노조가 그동안 행사해오던 독점적 노무공급권을 포기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조 위원장은 "지난 17일 오전 비대위 위원들을 만나 독점적 노무공급권을 포기해야 항운노조가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건전한 항만 역군으로 거듭날 수 있다고 설득했고,비대위 위원들도 이에 공감해 독점적 노무공급권 포기 등을 비롯한 개혁 방안을 공개적으로 제시키로 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노조의 요직을 몇몇 간부들이 조직적으로 주고받으면서 장기간 군림했다는 지적을 의식,노조위원장을 직선으로 뽑기로 했다.
비대위는 이와 함께 "검찰수사에서 밝혀졌듯이 항운노조가 발주한 공사에서 각종 비리가 일어났다"며 "앞으로는 일정 기준 이상의 공사는 공개입찰하고 각종 장부를 공개해 회계의 투명성을 높여가겠다"고 밝혔다.
조 위원장은 "노조 규정상 비대위가 실질적인 개혁을 진행해나가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노조 시스템 개선안을 정부와 전문가 집단에 의뢰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개선안이 마련되면 비대위는 조건없이 수용한다는 방침이다.
부산항운노조 비리를 수사 중인 부산지검 특수부(김종로 부장검사)는 이날 노조측이 채용 관련 자료를 숨겨놓은 곳으로 추정되는 운송회사와 하역회사 등 4곳에 대해 추가로 압수수색을 벌였다.
검찰이 압수수색을 벌인 곳은 모두 13곳으로 늘었으며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상당한 양의 채용비리 관련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채용비리와 노조비 횡령 의혹으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 평택항운노조에 경기도 의원 등 지역 유력 인사의 자녀들이 상당수 취직한 것으로 드러났다.
평택항운노조는 지난 1월 선발한 신입 직원 50명 가운데 5명을 평택항 복수노조 난립 단일화 수습대책위원회 몫으로 할당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