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2일자) 기술형 창업 '선택과 집중' 지원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기청은 교수 연구원 등 고급인력들의 창업을 적극 지원, 1만개 기술혁신형 창업을 유도한다는 내용의 '기술혁신형 창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실험실 창업 1천개,창업보육센터 창업 8천개 등의 수치에서 나타나듯 벤처거품 붕괴 이후 크게 위축돼 있는 대학과 연구소의 창업을 되살려 보겠다는 의도라고 할 수 있다.
제대로만 된다면 경제활성화에 적잖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
기술혁신형 창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런 창업이 활발해야 고용 확대와 함께 원활한 구조조정을 통한 지속적인 경제성장도 기대할 수 있다.
국가마다 기술혁신형 창업 촉진에 정책적 역점을 두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고급기술인력들이 대학이나 연구소에 몰려 있다.
때문에 정부가 이 곳을 중심으로 실험실 창업을 활성화하고,창업보육센터의 성과를 제고하겠다는 것은 적절한 방향이다.
문제는 얼마나 실효성있게 지원하느냐에 있다.
그런 점을 생각하면 과거 벤처창업 활성화란 이름하에 비슷한 지원을 했지만 왜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한마디로 그 당시엔 무늬만 창업보육센터이거나 실험실 창업인 곳들이 우후죽순처럼 난립했다.
도덕적 해이와 거품이 초래됐고,결국 제대로 된 기술혁신형 창업을 하고자 했던 사람들만 더욱 힘들게 만드는 꼴이 됐다.
정부는 이번 지원대책을 통해 안철수연구소라든지 서울대 공대의 SNU프리시젼 같은 기술력있는 기업들의 창업을 유도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이들은 기업가정신을 가진 사람들이란 점에 유의해야 한다.
만에 하나 1만개라는 수치에 연연하다 보면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할 가능성이 크다.
1천개라도 제대로 된 기술혁신형 창업이 우리 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창업대책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