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2일자) 산업시설 내진대책은 충분한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20일 일본 후쿠오카 북서 해역에서 발생한 강진 여파로 한반도 남·동해안 지역은 물론 전국이 큰 소동을 빚었다. 그런데도 기상청은 지진발생후 27분이나 지나 해일주의보를 발령하는 등 늑장대응함으로써 국민들을 불안에 휩싸이게 한 것은 우리 지진방재시스템이 얼마나 허술하게 운용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 것이나 다름없다는 점에서 보통 문제가 아니다.
기상청은 지진이 우리 해안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주의보 발령에 신중을 기하느라 시간이 지연됐다고 해명했지만,그동안 국민들이 영문도 모른채 겪은 혼란을 감안할 때 도무지 설득력이 없다.
더구나 지난해 말 서남아 각국에 엄청난 피해를 준 지진해일에 대한 기억이 생생한 마당에 만에 하나 해일이 우리 해안에 몰려왔을 경우를 생각하면 식은땀마저 날 지경이다.
물론 우려할 만한 여진도 없었고 해일도 일지않아 별다른 인명·재산피해를 입지 않은 것은 다행이지만 신속한 대응체제를 재정비해야 할 것이다.
특히 우리는 산업시설의 지진방재시스템을 집중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남·동해안 지역에는 주요 산업시설이 밀집해 있고,더욱이 약한 진동만으로 심각한 오작동 등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정밀기기가 주로 사용되는 첨단산업 비중이 큰데도 내진대책이 충분하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그렇다.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은 이미 입증된 사실이다. 지진에 대한 체계적 연구와 관측,방재시스템의 확립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인 셈이다.
지진과 해일 관측장비와 인력을 확충하고,재난정보 수신 및 경보시스템의 개선을 통한 신속대응체제를 구축해 이번과 같은 늑장대응을 되풀이해선 안될 것이다.
특히 아무리 작은 규모의 지진이라도 산업시설의 치명적인 피해와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완벽한 내진시스템 구축과 산업시설 안전을 위한 대책 마련을 서두르지 않으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