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5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광주.전남지역에서 지방선거에 출마할 `예비후보들'이 소속당의 기간당원을 모집하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일정액의 당비를 내는 기간당원이 지방선거 후보를 원칙적으로 뽑도록 돼 있고, 민주당은 아직 후보 선출방식이 구체적이진 않지만, 기간당원이 후보를 뽑는 시대흐름을 역행하긴 힘들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이에 따라 기간당원을 얼마만큼 확보하느냐가 경선통과 여부를 좌우하게 될 것이 확실시되면서, 지역정서상 열린우리당, 민주당 양당구도가 형성돼 있는 광주.전남지역에선 현재 기간당원 모집에 `보이지 않는 전쟁'을 치르고 있는 셈이다. 경선 6개월전까지 3개월 연속 연체 없이 월 당비 2천원을 납부한 당원이 지방선거 후보를 원칙적으로 뽑도록 돼 있는 열린우리당 예비후보들은 내년 경선일정을 감안, 최소한 올 8월 말까지 기간당원을 최대한 확보하기위해 열을 올리고 있다. 열린우리당 광주 구청장 후보를 준비중인 김모씨는 21일 "기간당원을 얼마나 확보하느냐에 따라 사실상 후보가 결정난다"며 "이미 지인들을 통해 1천명의 기간당원을 확보해 놨으며, 8월 말까지 300-400명을 추가 확보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같은당 광주시의원 후보를 준비중인 이모씨는 "개인적 인맥을 통해 모집한 기간당원이 300여명에 달한다"며 "상대 예비후보들에게 기간당원 모집 상황을 노출시키지 않기위해 일부러 모집한 기간당원을 광주시당에 등록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L씨는 "구청장 출마를 준비중인 모 인사는 여론주도 역할을 하는 통장이 자신의요청은 거부하고, 구청장을 준비중인 다른 인사의 요청은 받아들여 기간당원에 가입하자 최근 구청에 통장 해임을 요구하기까지 했다"고 귀띔했다. 아직 구체적인 경선방식이 결정되지 않은 민주당 지방선거 예비후보들도 열린우리당 예비후보들과 사정은 비슷하다. 민주당 소속 현역 광주 시의원인 S씨는 "열린우리당 처럼 기간당원이 지방선거후보를 뽑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커 부지런히 매달 당비 1천원을 내는 기간당원을모집중"이라며 "500명 이상은 모집해놔야 안심"이라고 말했다. 같은당 소속 현역 시의원인 C씨도 "이미 150여명을 모집해 놨다"며 "내년 시의원 재선을 위해선 400-500명은 추가로 모집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전남도당 관계자는 "기간당원이 지방선거 후보를 뽑는 방식이 현단계에선 가장 민주적"이라며 "경선때 기간당원 몸값이 금값이 될것 같다"고 말했다. 이들 관계자는 그러나 "기간당원이 뽑은 후보가 과연 본선 경쟁력이 있는 민심과 일치한 후보냐는 별개 문제로, 예비후보들 모두 본선 경쟁력이 떨어진 지역의 경우엔 중앙당에서 특정인사를 `전략공천'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연합뉴스) 전승현 기자 shch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