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이 21일 안보리 이사회확대를 골자로 한 유엔 개혁안을 발표한 데 대해 우리 정부는 이를 계기로 유엔 안보리 확대 개편 논의가 공식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 당국자는 22일 "아난 사무총장의 개혁안 발표가 유엔 고위채널 보고서 내용과 크게 달라진 것은 없다"고 평가한 뒤 "이제부터 유엔 안보리 이사국 증설에 대한 본격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난 총장이 기존 고위채널 보고서의 안보리 개혁 관련 A, B안을 합의(consensus)에 의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합의가 없다고 해서 결정이 미뤄져서는안된다고 언급한 데 대해 "개편의 시급성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했다. 거부권 없는 6개 상임이사국 및 3개 비상임 이사국을 증설하는 안이 `모델 A'이며, 연임 가능한 4년 임기의 제3 카테고리 이사국 8개국과 기존 2년 단임 비상임 이사국 1개국 신설안이 `모델 B'다. 일본의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시도에 대해서도 정부는 기존의 사실상 `유보'입장을 그대로 유지했다. 이 당국자는 "현 단계에서는 A안이냐 B안이냐에 대한 논의이지 나라 이름이 거명되는 것은 아니다"며 "실제로 어떤 합의가 이뤄질 지 또 그 합의에 따라 어떤 국가가 될 지는 모르는 상태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우리로서는 상임이사국 증설보다는 선출직 이사직 증설이 바람직하다는입장"이라며 일본의 상임이사국 진출에 대해서는 "지역내 국가로부터 신뢰와 지지를받을 수 있는 국가가 진출해야 한다"며 판단 유보 입장을 고수했다. 일본정부는 아난 총장의 개혁안 발표 직후 마치무라 노부타카(町村信孝) 외상담화를 통해 공식 환영 입장을 표명했다. `모델 A'를 지지하고 있는 일본은 독일, 인도, 브라질과 함께 상임이사국 확대를 요구하는 공동 결의안을 제출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