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이 지난 21일 상임 인권이사회 설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확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유엔 개혁안을공식 발표하면서 일본 정부의 상임이사국 진출 움직임이 본격화 되고 있다. 더욱이 미국이 일본에 힘을 실어 줌으로써 일본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이 탄력을 받고 있다. 북한은 일본의 유엔 상임이사국 진출에 대해 한결같이 반대 입장을 밝혀왔다. 일본 정부가 깨끗한 과거 청산은 커녕 오히려 역사왜곡 행위를 일삼고 있으며 영토팽창과 군국주의 정책을 취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일본은 유엔 상임이사국 진출에 앞서 먼저 `적국(敵國)'의 오명을 벗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과거 침략역사를 솔직히 인정, 사죄하고 배상에 성실히 임하는 자세로 나서야 한다는 것이 북한 주장이다. 이와 관련, 박길연 유엔대사는 지난 7일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에게 서한을보내 "과거범죄에 대해 반성도, 보상도 하지 않고 동북아시아 지역의 안정을 위협하는 일본이 세계 평화와 안전 문제를 다루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 절대 될 수 없다는 것이 조선(북)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또 노동신문은 13일 일본이 돈과 미국의 후원을 밑천삼아 상임이사국 진출을 노리고 있다면서 "이사국 지위는 돈으로 팔고 사는 자리가 아니고 미국이 유엔을 좌지우지하는 시대는 지나갔다"고 비판했다. 특히 조선중앙방송은 지난달 22일 `일본은 과거범죄부터 깨끗이 청산해야 한다'는 시사논단에서 일본이 상임이사국 자리를 노리는 것은 "미꾸라지가 용꿈을 꾸는것이나 다름 없는 망상"이라고 비꼬았다. 일본이 유엔 상임이사국에 진출하려는 목적은 과거 범죄행위를 덮어 버린 채 군사대국을 실현하려는 것이며, 유엔이 국제평화와 안전보장을 사명으로 하고 있는 만큼 일본은 자격 미달이라는 것이 북한 입장이다. 나아가 북한은 유엔 안보리 개혁과 관련, 상임이사국 확대문제는 가장 신중하게처리해야 할 문제라며 이를 확대할 경우 우선권을 개발도상국가에 주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 연합뉴스) 김두환 기자 dh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