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23일 최근 한일관계와관련, "이제는 정부도 단호히 대응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미래가 달린 문제이기 때문에 침략과 지배의 역사를 정당화하고 또다시 패권주의를관철하려는 의도를 이상 더 두고 볼 수 만은 없게 됐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소식지인 `청와대브리핑'에 실은 `최근 한일관계와 관련하여 국민 여러분에게 드리는 글'을 통해 일본의 각종 도발행위에 대해 "이제는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사태에 이르고 말았다"며 이같이 천명했다. 노 대통령은 특히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의 신사참배,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의 날' 선포, 역사교과서 왜곡에 대해 "이것은 일본이 지금까지 한 반성과 사과를 모두 백지화하는 행위"라고 규정하고 "이런 일들이 일본 집권세력과 중앙정부의 방조아래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를 일본의 행위로 볼 수 밖에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고이즈미 총리의 신사참배는 이전에 일본 지도자들이 한 반성과사과의 진실성을 훼손하는 일"이라면서 "100년전 일본이 독도를 자기네 영토로 편입한 바로 그 날을 시마네현이 `다케시마의 날'로 선포한 것은 지난날의 침략을 정당화하고 대한민국의 광복을 부인하는 행위"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이어 노 대통령은 "이제부터라도 정부가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할 것"이라며외교적으로 단호하게 대응해 나가면서 국제여론 및 일본국민에 대한 설득작업을 병행할 것임을 밝혔다. 노 대통령은 "외교적 대응의 핵심은 일본 정부에 대해 단호하게 시정을 요구하는 것"이라면서 "일본 정부의 성의있는 응답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구심이있기도 하지만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면 들을 때까지 끈기있게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노 대통령은 국제여론 설득방안과 관련, "일본이 아시아와 세계의 질서를주도하는 국가가 되려고 한다면, 역사의 대의에 부합하게 처신하고 확고한 평화국가로서 국제사회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이라고 말해 일본의 도발행위를 유엔안보리상임이사국 진출 문제와 연계시킬 수도 있다는 점을 강하게 시사했다. 나아가 노 대통령은 "각박한 외교전쟁도 있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제한 뒤 "우리 경제를 어렵게 하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도 생겨날 수 있다"며 "그러나 이 문제에관해서는 우리도 어지간한 어려움은 충분히 감당할 만한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번에 반드시 뿌리를 뽑도록 하겠다"면서 "어려울 때는 국민 여러분께 도움을 청하겠다. 새로운 일이 벌어질 때마다 국민의 의견을 듣겠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그러나 "일본 국민 전체를 불신하고 적대해서는 안된다"며 "냉정을잃지 않고 차분하게, 멀리 내다보고 전략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당부하고,정치권과 학계 일부의 독도 해병대 주둔과 한일어업협정 파기 주장 등 대일 강경론을 의식한듯 "그동안 너무 많은 말과 행동이 쏟아져 나온 것은 아닌가 하는 불만이없지 않다"며 자제를 요청했다. 노 대통령은 "사필귀정이라는 말을 믿는다"면서 "저에게는 이 일을 올바르게 처리할 소신과 전략이 있다. 결코 국민을 실망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기자 cb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