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내 당권경쟁 구도가 막판 후보간 '짝짓기'가 급물살을 타면서 변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개혁파와 실용파가 대립각을 세우면서 노선 대결이 한층 심화되는 양상이다. 단초는 개혁파인 유시민 후보가 제공했다. 유 후보는 23일 정동영 통일부장관 지지자들을 정면 공격하면서 김근태 보건복지부장관 지지자들과 연대하겠다고 밝혔다. 유 후보는 "DY(정동영 장관)계는 정당개혁의 과제를 저버렸다"며 "정당개혁의 과제를 놓고 GT(김근태 장관)계 및 장영달 후보와 연대하겠다"고 말했다. 유 후보는 전날 정 장관계와는 '적대적'이라는 극단적인 표현까지 썼다. 유 후보의 발언이 정동영 장관과 가까운 구 당권파 인사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1위를 달리고 있는 문희상 후보를 겨냥한 것이라는 데 별 이견이 없는 것 같다. 여기에는 최근 실용파의 파상공격에 대한 반격의 성격이 담겨 있는 데다 문 후보와 각을 세워 '개혁 대 실용'구도로 몰고감으로써 의장자리까지 노려보겠다는 계산이 깔려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경선구도가 실용 대 개혁으로 흐르면서 '짝짓기'구도도 가시화하고 있다. 우선 개혁진영에서는 유시민 김두관 후보가 적극 협력하는 가운데 장영달 후보와의 연대가 현실화하고 있다. 지도부 5인 중 개혁파 3인이 포진해 개혁지도부를 구성하겠다는 계산이다. 반면 실용파 진영에서는 문 후보가 염동연 또는 송영길 후보 가운데 지도부 진입이 가능한 쪽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동반 당선을 이뤄내고 여기에 당선이 확정된 한명숙 의원과 함께 '실용파 지도부'를 구성하겠다는 전략으로 맞서고 있다. 현재로선 염 후보가 송 후보보다 지지도에서 앞서고 있다는 점에서 '문희상-염동연'연대가 부상하고 있다. 유 후보의 '러브콜'에 김 장관측은 일단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으나 연대쪽으로 가닥을 잡을 경우 정 장관계와 김 장관계가 정면 충돌할 개연성도 없지 않다. 실제 중앙위원선거에서는 양측간 협력이 이뤄지고 있는 상태다. 이재창·박해영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