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을 잡아라.' 대학 캠퍼스에 민간투자가 허용되면서 은행 보험 등 금융회사들이 기숙사 식당 체육관 등 대학 시설물 투자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금융회사들은 연간 3조∼5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대학시설물 투자시장을 겨냥해 펀드 개발에 나서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는 24일 기업이나 지방자치단체,개인이 사립대 캠퍼스 내에 기숙사 식당 체육관 주차장 등 시설물을 지어 소유할 수 있도록 '대학 설립운영 규정'을 개정,공포했다. 교육부는 이들 시설에 대해 취득세와 등록세 부가가치세 등을 감면하는 방안을 관계 부처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는 "그동안 학교 설립자만이 캠퍼스 내 건물을 소유할 수 있어 막대한 예산이 필요한 기숙사나 체육관 등 학생복지시설을 제대로 지을 수 없었다"며 "교육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모든 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를 허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미 여러 형태로 대학 시설물 건설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기업들은 교육부의 관련 규정 개정에 따라 대학투자에 더욱 관심을 보이고 있다. 기업들은 대학부지 내에 건축물을 지어 일정 기간 임대료 등으로 투자액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대학 시설물에 투자하고 있다. 현재 한국외대 건국대 경희대 숙명여대 등은 이미 민간투자를 받아 민간이 일정 기간 임대료 등으로 시설투자비를 회수한 뒤 소유권을 넘기는 'BTL(Build―Transfer―Lease)' 방식으로 기숙사 건립에 들어갔다. 산업은행 등 금융권은 민간자본을 조성,대학 기숙사 건설을 지원하는 '기숙사 펀드'를 내놓고 있다. 외환은행 최상현 투자금융부 과장은 "한국외대와 기숙사 건립사업에 2백50억원을 투자하기로 협약을 체결했다"며 "대학측이 1년 중 8개월 이상 사용 및 입실률 85%를 보장해줘 투자수익률이 7.5%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삼성생명 서성용 투자사업부 부장은 "저금리 시대에 투자대상 다각화를 위해 새롭게 투자할 곳을 찾고 있다"며 "개별 대학들이 기숙사 입실률과 기숙사비,기숙사비 인상률 등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경우 적극적으로 투자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