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2천억달러를 넘어서면서과다보유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적정 외환보유액은 1천417억달러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현행 외환보유액 2천68억달러중 적정액을 초과한 부분은 공격적으로 운용해 수익성을 높여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하나은행 산하 하나경제연구소는 25일 `외환보유액과 자산운용 다변화' 보고서에서 최근 3개월간의 수입액과 1년 미만 단기외채, 자본유출 가능액 등 3개 변수를고려해 분석한 결과 적정 외환보유액은 1천417억5천만달러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외환보유액이란 갑작스런 대외지급과 외환시장 불균형 완화를 위한 자금이라고 전제하고 국제통화기금(IMF) 등의 국제기준을 응용해 이같은 전제조건을충족시키기 위해 3개 변수를 사용해 적정 외환보유액을 산출했다고 설명했다. 먼저 국제적으로 적정 외환보유액을 산정하는 기준인 최근 3개월간의 수입액은지난달말 기준으로 585억2천만달러였다. 또 자본유출 가능액은 환란 직전 외국인 주식순매도가 최고조에 달했던 1997년8~11월 4개월간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의 12%가 유출된 점을 감안, 지난 2월말 기준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1천976억달러에서 똑같은 비율이 빠져나간다고 가정하면232억3천만달러로 계산된다. 만기 1년 미만의 단기외채는 작년말 현재 600억달러로 집계됐다. 연구소는 따라서 이들 3개 변수의 총액을 더한 1천417억5천만달러가 우리나라의적정한 외환보유액이며 현행 2천68억2천만달러의 외환보유액은 적정액을 650억7천만러 초과했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외국의 경우 적정 외환보유액을 계산할 때 단기외채만 기준으로 하거나 단기외채에 총통화(M2)의 5~10%를 더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대외의존도가 높은 점을 감안, 대외 수입액과 자본유출 가능액까지 합산해 산출했다고설명했다. 연구소는 우리나라의 과다한 외환보유액은 환율하락을 막기 위해 시장에 개입한결과이며 이 과정에서 통화증발을 제한하는 통화안정채권을 발행, 2003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721조원의 0.2%가 외환보유비용으로 지출됐다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이같은 외환관리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적정 외환보유액을 초과한부분은 한국투자공사(KIC)에 전액 위탁해 파생상품, 주식 등에 투자하거나 대형국책사업에 투입해 경제발전을 지원하는 등 적극적인 운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기자 dae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