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과 영유권분쟁을 둘러싸고 촉발된 중국의 반일 운동이 일본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반대 서명 운동 형식을 빌려 벌판의 불길처럼 무서운 기세로 번지고 있다. 관영 신화 통신의 28일 보도에 따르면 신랑(新浪ㆍsina.com.cn), 써우후(搜狐ㆍwww.sohu.com), 왕이(網易ㆍwww.163.com) 등 중국 3대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일본의안보리 상임이사국 반대 서명을 한 네티즌은 27일 자정 현재 695만명으로 700만명에육박했다. 지난 23일 서명을 받기 시작한지 나흘만에 급중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반일 서명은 베이징(北京), 광둥(廣東)성, 산둥(山東)성 등 전국 각지에서 이뤄지고 있고 세계 150개국에 있는 화교 9만명도 서명 대열에 동참했다. 또 각종 항일단체들도 일본의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을 저지를 위한 세계적인 여론 확산을 위해 지구촌 100만명 서명 목표를 세우고 각국 언어로 사이트를 개설했다. 전국 각지에서 항일 시위가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사회 각계 인사들이 서명에속속 참여, 이러한 움직임은 유엔 회원국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일본과 영유권 분쟁이 벌어지고 있는 동중국해 댜오위타이(釣魚臺ㆍ일본명센가쿠열도) 보호를 취지로 설립된 민간단체 `중국민간 댜오위타이 보호 연합회'는세계 각 지부와 합동으로 오는 9월 뉴욕타임스에 일본은 안보리 상임이사국 자격이 없다는 내용의 전면 광고를 낼 계획이다. 중ㆍ일전쟁 당시 마루타 등으로 악명을 날린 중국주둔 일본 731 세균부대 피해자들은 지난 22일 도쿄(東京)에서 일본 정부에 대해 중국 침략 일본군의 만행을 사과하고 피해 배상을 할 것을 요구하는 가두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베이징=연합뉴스) 조성대 특파원 sdc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