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를 사용하다 보면 일반 문서작업이나 프로그램 실행에는 큰 차이가 없는데 유독 인터넷 접속 속도만 느려지는 경우가 간혹 있다. 인터넷 속도가 느린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인터넷 회선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이고 다른 이유는 바이러스나 악성코드에 의해 컴퓨터 상태가 불안해진 경우다. 이런 특별한 하자 요인이 없는데도 인터넷 접속 속도가 느려졌다면 PC 내 임시파일(temporary internet files)의 저장공간을 줄일 필요가 있다. PC를 오래 쓰다보면 임시파일의 저장 폴더가 너무 커서 파일 찌꺼기가 많이 쌓이게 된다. 임시파일 저장 폴더가 너무 크면 익스플로러가 느려진다. 임시파일 저장폴더를 줄이려면 익스플로러 메뉴에서 도구로 들어가 인터넷 옵션을 고른 다음 '일반'탭에서 '설정' 버튼을 누른다. 이어 '임시 인터넷 파일 폴더'에서 디스크 공간을 10∼20 등 적당한 수준으로 바꾸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된다. 이와 함께 인터넷 옵션의 일반탭에서 '쿠키삭제'와 '파일삭제'를 수시로 눌러주는 것도 필요하다. 한편 프록시 설정을 조정해도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뜨는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기본적으로 프록시 연결을 하도록 돼 있다. 프록시 설정이란 대구에 있는 내 PC가 서울에 있는 서버 컴퓨터에 담긴 동영상을 내려받을 경우,프록시 서버는 대구에 사는 다른 사람이 먼저 서울로부터 받아놓은 데이터를 곧바로 내게 주는 일을 한다. 서울까지 가지 않고 같은 지역인 대구 옆동네에서 내려 받으므로 속도가 빨라질 것 같지만 사람마다 주로 이용하는 데이터가 달라 현실적으로 시간이 더 걸리는 경우가 많다. 프록시 서버에 담긴 데이터가 특정 사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데이터와 같을 경우보다는 다른 때가 더욱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프록시 서버에 있는 데이터까지 검색하느라 시간을 더 끌기보단 쓰지 않는 편이 인터넷 접속속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 프록시 설정은 내컴퓨터의 제어판에 들어가 인터넷을 클릭한 후 연결 탭에서 'LAN 설정' 버튼을 누르면 된다. 뜨는 화면에서 '자동구성'과 '프록시 서버'에 표시된 것을 모두 빼면 된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