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5일 열린우리당 문희상(文喜相) 의장이 취임후 첫 기자회견에서 `민생우선 상생의 정치'를 강조한 데 대해선 환영하면서도 상생의 정치를 구현하기 위한 여당의 책임을 강조했다. 또 문 의장이 `3대 쟁점법안'의 4월 국회 처리와 선거구제 개편 등 정치개혁을화두로 내세운 데 대해선 배경을 면밀히 검토하는 등 경계의 시선을 거두지 않았다. 강재섭(姜在涉) 원내대표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상생은 여당이 야당의 입장에서 역지사지해야 가능하다"고 말했고, 맹형규(孟亨奎) 정책위의장 역시 "여당이수의 힘으로 밀어붙이는 행태를 되풀이하지 않는다면 우리도 상생의 정치를 하고자한다"고 가세했다. 전여옥(田麗玉) 대변인도 "무정쟁과 상생의 원칙에는 전폭적으로 찬성하지만,이는 집권당에서 분위기를 제공해야 가능하다"며 "무정쟁과 상생을 하자면서 야당의입장으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제안이 많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은 문 의장이 개헌 논의 중단을 주장하면서 선거구제 개편 등 `정치개혁'을 내세운 데 대해선 여당의 정략적 의도가 숨어있는지를 분석하는 등 신경을 곤두세웠다. 강 원내대표는 선거구제 개편문제와 관련해 당론이 소선거구제임을 거듭 강조한뒤 "국회 정치개혁특위에서 신중하게 협상할 문제"라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맹 정책위의장은 "선거구제는 지역주의 타파를 내세웠지만 실제론 한나라당의 `텃밭'을 헤집어 놓겠다는 정락적 배경이 깔려있어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밝혔다. 전 대변인도 "중.대선거구제는 대통령중심제에서는 맞지 않고 기초단체장 정당공천 배제 역시 여당이 지자체를 석권하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 "개헌논의는 하지 말자며 선거구제 개편을 주장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한나라당은 국가보안법 등 3대 쟁점법안에 대해선 `4월 국회 처리'보다 `합의 처리'에 무게를 두며 한나라당도 상정, 심의키로 한 만큼 여당도 단독처리 강행 등 `무리수'를 두지 말 것을 거듭 당부했다. 김무성(金武星) 사무총장은 "쟁점법안 처리에 대한 합의를 놓고 여야간 해석이서로 다른 데 중요한 법안은 합의처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경희 기자 kyung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