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법안에 대한 논의가 국회 내 대화로 자리 잡아가며 `4월 처리' 연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와 노사정 대표들이 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주관으로 `국회-노사정' 대화기구를 구성해 비정규직법안에 대한 합의안을 도출해 내기로 하면서 노동계를 중심으로 4월 처리 연기에 대한 기대감이 퍼지고 있다. 노동계는 국회가 애초 노사정과 대화결과에 관계없이 여야가 합의한 4월 임시국회 처리 방침에서 `노사정 대화 존중'으로 한발 물러선 점을 주목하고 있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국회가 노사합의를 존중한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은 국회와노사정간 법안에 대한 논의에 의미있는 진전이 있으면 4월 처리를 고집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민주노총도 비슷한 인식을 바탕으로 국회 논의를 단순한 `시간 끌기' 차원이 아니라 비정규직법안이 노동자 대중에게 미칠 수 있는 심각성을 고려해 심도 있는 논의에 임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정치권은 오는 30일 국회의원 재선거 6곳을 포함해 총 43개 선거구 재ㆍ보궐선거를 앞두고 큰 반발을 살 수 있는 강행 처리가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연기 가능성을 점치게 하는 대목이다. 하지만 경영계는 `조속한 처리'를 주장하고 있고 정부와 여당도 기존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국회와 노사정간 대화를 주관하게 될 이목희 법안심사소위원장(열린우리당)은 "비정규직 입법은 4월 처리라는 원칙이 있는 만큼 노사 의견을 존중하고 배려하면서조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민주노총 이수봉 대변인은 "국회가 시일을 정해놓고 들러리로 세우는형식의 대화에는 응할 수 없다. 오늘 국회논의 결과는 법안 강행처리를 명시하지 않음으로써 실질적인 대화조건을 만들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서울=연합뉴스) 한승호 기자 h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