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에너지 절약을 위한 자발적 협약(VA)에 가입한 기업은 4백11개나 증가했다. 이는 지난 98년 이 제도가 도입된 이래 연간 기준으로 협약업체 증가가 가장 많았던 2003년 1백64개의 세 배 수준이다. 이에 따라 협약 체결 업체는 부도·폐업 회사 등을 제외하면 1천26개로 늘어 정부의 목표치(9백64개)를 훨씬 상회했다. 이렇게 자발적 협약을 맺은 기업 숫자가 크게 늘어난 것은 에너지를 많이 쓰는 기업에 대한 정부의 집중 관리정책이 성과를 내고 있는데다 협약 가입에 따른 인센티브가 크게 확대됐기 때문이다. 이 협약을 맺으면 시설자금을 싼 이자로 끌어쓸 수 있을 뿐 아니라 에너지 전문가들의 컨설팅까지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최근 협약 가입업체를 늘리기 위해 시설자금 지원을 크게 확대했다. 과거 협약에 가입하면 에너지 절약을 위한 시설자금을 사업장당 1백억원,업체당 2백억원까지 연 2.75%의 금리로 대출받았다. 그러나 지금은 사업장당 2백50억원,업체당 5백억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금리도 변동 금리이긴 하지만 지난 1·4분기 기준으로 연 2.0%까지 낮춰져 있다. 협약 가입에 따른 혜택은 이밖에 탈황 시설을 설치할 경우 설치기간 중 고유황유 사용이 허용된다. 또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지원단이 직접 컨설팅까지 해준다. 이처럼 기업들의 협약 가입이 증가하자 정부는 연간 에너지를 2천TOE(석유환산t) 이상 사용하는 1천5백32개 업체 가운데 80%를 2008년까지 협약에 가입시키겠다고 한 목표를 앞당겨 올해 안에 조기 달성키로 했다. 또 내년부터는 에너지 사용량이 늘어난 업체를 대상으로 신규 협약 가입을 추진할 예정이다. 작년 말까지 정부가 VA체결 업체 가운데 1백89개 업체에 지원한 금액은 2천9백78억원에 이른다. 이와 함께 정부가 실시하고 있는 에너지 절약기업 지원수단이 ESCO(에너지절약 전문기업) 제도다. ESCO 인증기업이 먼저 자금을 조달,에너지 사용기업에 에너지 절약시설을 설치해주고 투자액을 회수한 이후부터는 에너지 절감액을 에너지 사용기업과 분배하는 제도다. 기업 입장에서는 초기비용 부담이 없다는 점에서 이 제도를 선호하고 있다. ESCO 인증기업을 통해 투자된 금액은 2002년 1천4백억원을 정점으로 2003년 1천3억원,작년 8백91억원으로 점차 줄었지만 올해는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ESCO에 등록되면 에너지 절약시설 설치자금에서 개별 투자사업당 1백억원까지 연리 2.25% 수준으로 대출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유사 공정을 가진 사업장이 에너지 절약기술을 공유할 수 있도록 ESP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공동 연구를 통해 기술을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에너지 이용효율을 향상시키겠다는 취지에서 만들어진 제도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